헌법재판소가 이르면 14일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를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 가운데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등 변수로 인해 선고까지 늦춰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법재판관들은 지난달 25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변론을 종결한 이후 7일 평의를 연 데 이어 이번 주 매일 평의를 열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법조계에서는 과거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전례에 비춰 볼 때 변론 종결 후 2주 뒤 금요일에 선고가 내려진 것을 고려해 이달 14일쯤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가 내려질 것이란 전망이 많이 나왔다.
다만 윤 대통령 측이 탄핵심판에서 절차적·실체적 쟁점을 총체적으로 다투고 있기 때문에 헌재가 검토할 항목이 많아 종전보다 평의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 경우 선고까지 1∼2주가량 더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고 분석된다.
또 윤 대통령 측이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을 근거로 절차적 쟁점을 추가로 제기할 가능성도 있다.
앞서 대통령 측은 개정 형사소송법에 따라 검찰이 작성한 군 지휘관 등의 피의자신문조서를 당사자 동의 없이 증거로 쓰면 안 된다는 등 변론 과정에서 여러 차례 절차적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또한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의 합류 가능성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헌재가 지난달 27일 권한쟁의심판을 인용했으나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일째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헌재는 마 후보자가 중도에 합류할 경우 변론 재개할지, 마 후보자를 배제하고 8인 체제로 심판을 선고할지 결정해야 한다.
다만 이미 평의가 여러 차례 진행된 만큼 8인 체제로 결론을 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정확한 선고 날짜는 2∼3일 전에 통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노 전 대통령은 선고 3일 전에, 박 전 대통령은 선고 이틀 전에 선고기일이 공지됐다.
한편, 앞서 전날 서울중앙지법은 검찰의 구속기간 산정 문제 등을 이유로 구속 만기 후 기소가 이뤄졌다며 윤 대통령의 구속을 취소하는 결정을 내렸고, 검찰은 고심 끝에 이날 석방을 지휘했다.
경호차를 타고 이날 오후 5시 49분쯤 서울구치소 정문 앞에 도착한 윤 대통령은 지지자들에게 인사한 뒤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로 향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