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 참여 외국인 인재 모집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상북도는 '지역특화형 비자사업' 참여 외국인을 모집한다고 9일 밝혔다.

지혁특화형 비자사업은 지역에 필요한 외국인에게 비자 특례를 부여해, 지역사회 정착을 장려하는 한편 지역 경제활동 촉진과 국가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정책이다. 저출생 고령화로 인한 소멸위기에 놓인 지역에게는 '가뭄의 단비'와 같은 정책으로 여겨진다.

경북도는 2022년부터 지역특화형 비자 시법사업을 통해 지난해까지 총 677명의 외국인에게 지역에 장기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비자 발급을 추천했다. 올해는 지역우수인재(F-2-R) 총 781명을 배정받아 내년 9월30일까지 사업을 추진한다.

올해는 비전문취업(E-9)·선원취업(E-10)·방문취업(H-2) 비자에다, 지역특화형 비자에 참여할 수 있는 '지역특화 숙련기능인력'(E-7-4R) 유형이 신설되면서 배정인원이 500명 늘었다. 도는 올해 총 1천281명의 외국인을 유치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공모 대상은 지역우수인재(유학생)와 숙련기능인력(근로자) 및 외국국적동포(재외동포)다. 지역 인재는 소득·학력, 한국어 능력 요건 등 법무부 기본 요건과 지역특화 요건을 갖춘 외국인이며, 인구 감소 지역에 일정 기간 의무 거주 및 취업을 조건으로 도지사 추천을 받아 관할 출입국에 거주(F-2-R) 비자를 신청할 수 있다.

숙련기능인력은 최근 10년간 E-9·E-10·H-2 비자로 2년 이상 체류한 등록외국인 근로자로 현재 근무처에서 합법적으로 근로 중이고, 연봉 2천600만원 이상, 한국어능력 2급 이상 요건을 갖추면 추천서 발급 신청이 가능하다.

외국국적동포의 경우 인구 감소 지역에서 2년 이상 거주하고 있거나 앞으로 2년 동안 거주하려는 외국국적동포와 비인구감소지역 또는 해외에 거주하다가 사업지역으로 가족과 함께 이주하려는 60세 미만 외국국적동포가 추천 대상이다.

지역특화형 비자사업은 도내 인력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장 기업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올해도 많은 기업의 참여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한국어 능력이 뛰어난 외국인 유학생이 취업하기 때문에 단순 제조업체 이외에도 서비스업·복지·보건업 등 인력난을 겪고 있는 도내 사업체가 인재를 채용할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성현 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지난해 지역특화형 비자사업에 참여한 도내 산업계에서는 만족도가 높고, 사업지역에 정착을 시작한 외국인들 역시 지역특화형 비자로 한국 생활에 미래가 생겼다"며 "앞으로 경북에 활력을 불어넣을 유능하고 성실한 외국인 인재들이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