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9세에서 34세 청년의 개인 부채 가운데 70%는 가계 관련 부채인 것으로 조사됐다. 주거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에 살아본 경험이 있는 청년은 7%에 머물렀다. 청년 10명 중 3명은 최근 번아웃(소진)을 경험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11일 국무조정실은 '청년기본법'에 따라 2년에 한 번 조사하는 '2024 청년의 삶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 청년 1만5천명을 조사한 결과 개인의 평균 소득은 2천625만원이었다. 이 중 평균 부채는 1천637만원인데 주택 관련 부채가 1천166만원(71.2%)에 달했다.
청년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책 지원은 주거 정책(45.7%), 일자리 정책(33.5%), 복지문화 정책(14.1%) 순으로 조사됐다.
주거정책 중 주택구입자금대출(31.3%), 전세자금대출(25%) 등 대출 수요가 많았다. 이어 월세 등 주거비 지원(20.7%), 공공임대(14.9%) 순이었다.
절반 이상 청년은 주택구입과 임차를 위한 자금조달을 부모와 친지(61.7%)의 도움을 통해 해결했다. 이어 본인(24.2%), 정부·자치단체(6.8%), 민간 금융기관(6.3%) 순으로 응답했다.
상대적으로 거주 비용이 저렴한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71.7%)은 높은 반면, 거주 경험(7%)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절반(54.4%)은 부모님과 동거한다고 답했고, 나머지는 독립생활(45.6%)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신건강과 관련해 10명 중 3명(32.2%)은 최근 1년간 번아웃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 진로 불안(39.1%)과 업무 과중(18.4%), 일에 대한 회의감(15.6%)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만 19세에서 24세는 진로 불안(54.8%), 만 30세에서 34세는 진로 불안(22.3%) 만큼이나 업무과중(22.2%)이 많았다.
청년 10명 중 1명(8.8%)은 우울 증상을 경험했으며, 여성(10.7%)이 남성(7.2%)보다 우울 증상 유병률이 높았다. 자살 생각 경험도 여성(3.9%)이 남성(2.9%)보다 많았다.
정신건강 문제로 전문가 상담이 필요했으나 받지 못했다(6.3%)고 응답한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비용 부담(38.6%)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현충원서 또 "예의가 없어" 발언…왜?
민주당 권리당원의 외침 "전국이 불타는데 춤 출 때냐"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박찬대 "한덕수, 4월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 결심"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