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ETRI 대경권연구센터, 디지털트윈 기반 상수도 관제시스템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디지털트윈 기반 상수관망 관제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ETRI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디지털트윈 기반 상수관망 관제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시스템을 상수도 산업현장에 보급할 경우 관망의 운영·유지관리 효율과 수돗물의 공급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센서테이터 분석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을 적용해 ▷상수관망의 옥내·외 누수탐지 ▷누수 의심구역 식별 ▷수질 이상상황 탐지 ▷수충격 인식 및 위치추정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시뮬레이션·예측 기술을 채택해 ▷상수관망의 유량·압력·잔류염소 모의 ▷수질사고 모의 ▷누수관로 고립을 위한 제어밸브 추천 ▷관로 노후도 평가 ▷주간 물 수요 예측 등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 시스템과 달리 통합된 데이터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모델을 통해 이상 데이터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다. 최신 데이터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시스템을 업데이트 한다는 방침이다.

모의기능의 경우 유량·압력·잔류염소 값의 분포를 직관적으로 시각화했다. 관리자가 신규계측기 설치위치를 선정하거나 물의 흐름이 정체된 구역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 관할 1개 중구역에 ETRI가 개발한 시스템 현장 실증이 진행되고 있다. 현장적용성과 확장성,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 고도화 작업도 병행한다.

백동현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 본부장은 "대구 물클러스트 입주기업에서 개발중인 통합상수관망관리 시스템이 가상 현실이 아니라, 현장에서 실용적이고, 고도화될 수 있도록 테스트베드 및 데이터 공유 등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라고 말했다.

변우진 ETRI 대경권연구본부 본부장은 "본 시스템에는 상수관망의 누수탐지 등 디지털 핵심기술이 탑재되어 있다. 향후에는 개발된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국내 상수도 관망관리 기술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이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