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가계대출이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은행권 가계대출 취급 재개와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늘면서 가계부채 오름 폭이 다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2일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1천672조원으로 전월 대비 4조3천억원 증가했다. 지난 1월 1천667조원 수준으로 9천억원 감소한 지 1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대출 종류 중 주택담보대출이 전월보다 5조원 불어났고,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6천억원 줄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지난 1월(3조2천억원)보다 커졌고, 기타 대출 감소 폭은 1달 전(4조1천억원)보다 크게 줄어든 수준이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이 3조3천억원 늘어났다. 2금융권 가계대출은 상호금융권(8천억원)을 중심으로 1조원 늘었다. 또 여신전문사 가계대출이 3천억원 늘었으며, 저축은행(200억원)과 보험사(1천억원)는 감소를 보였다.
이사철을 맞아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증가한 데다 설 상여금 유입 효과 등이 사라지면서 기타대출 감소 폭도 줄었다는 게 금융권 설명이다. 금융당국은 금융권 가계대출 취급 재개와 신학기 이사 수요 등이 겹쳐 가계대출이 급증했지만, 매년 3월 신학기 수요 해소 등으로 주택담보대출 실행이 감소하는 추세를 고려하면 관리 가능한 범위 안에 있다고 평가했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이사 철을 맞아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상당히 증가했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 완화로 최근 서울 아파트 가격의 오름 폭이 커지고 거래량도 늘고 있다. 서울 아파트 월 거래량이 작년 말 거시건전성 정책 등의 영향으로 3천호까지 떨어졌지만, 2월에는 이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일부 해제한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 흐름이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금융당국은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상승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가계부채 관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지역별 주택시장 상황과 가계대출 추이를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문]
윤 전 대통령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기대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
'계엄, 1만명 학살 계획' 이재명 주장에 尹측 "이성 잃은 듯, 경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