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홈플러스 단기채권 규모가 2천억원대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법인에 판매된 물량까지 합할 경우 리테일(소매) 판매 규모는 5천400억원 수준으로, 홈플러스 채권 판매잔액 6천억원 중 당상 부분이 개인·일반법인에 떠넘겨진 셈이다.
홈플러스 매장을 기초자산으로 한 1조원대 리츠(부동산투자회사)·부동산 펀드 등에도 개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다수 묶여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피해 규모가 급격히 커질 우려도 제기된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업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홈플러스 기업어음(CP)·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단기사채 등 단기채권 판매잔액은 총 5천949억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증권사 일선 지점 등을 통해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규모는 2천75억원(676건), 일반법인에 판매된 규모는 3천327억(192건)이었다.
채권 대부분이 대형 기관투자자가 아닌 개인 및 일반법인에 판매된 것으로 확인된 만큼 불완전판매 의혹이 본격적으로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준비하면서도 채권을 발행해 개인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떠넘겼다면, 동양·LIG 사태처럼 대형 법정 싸움으로 번질 수 있다.
특히 홈플러스는 지난달 25일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했음에도 820억원 규모의 ABSTB를 발행했다는 의혹을 집중적으로 받고 있다.
여기에 홈플러스 매장을 자산으로 편입한 리츠나 부동산 펀드에서도 대규모 개인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잇따른다.
홈플러스는 우량 점포를 팔아 현금을 조달하고, 이를 다시 빌려 영업하는 '매각 후 재임차(세일 앤드 리스백)' 전략을 써왔다.
리츠는 이러한 유형의 점포를 자산으로 편입한 뒤 홈플러스로부터 임대료를 받고, 이를 투자자들에게 배당해왔다.
그렇기에 홈플러스가 임대료를 미지급할 경우 투자자들 손실이 본격화할 수 있다.
현재 정부가 파악 중인 홈플러스 점포를 기초 자산으로 둔 리츠와 펀드 규모는 1조원대 수준으로 알려졌다.
한편, 금융당국은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단기 채권을 발행해왔는지를 규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지난 13일 금융감독원은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발행 주관사인 신영증권과 신용평가사들을 대상으로 검사에 착수한 상태다.
홈플러스와 MBK가 신용등급이 강등될 것을 미리 알았거나 회생신청 계획을 미리 세우고도 채권을 계속 발행했다면 사기적 부정거래 등이 적용돼 법적 처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