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로 2분기 한국 수출 기업의 체감 경기가 크게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2025년 2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보고서에 따르면 올 2분기 EBSI는 84.1로, 2개 분기 연속 기준치인 100을 밑돌며 전 분기 대비 수출 경기 악화에 전망이 더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품목별로는 주요 15대 수출 품목 중 11개 품목이 1분기 대비 낮은 값을 기록했다. 특히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자동차·자동차부품은 59.4로, 전 분기 대비 수치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한국 기업 진출이 활발한 멕시코에 대한 미국의 관세 조치의 부정적 영향이 크고, 철강·알루미늄 파생 상품에 부과된 25% 관세도 파생 상품에 적용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직접적인 관세 부과 대상이 된 철강은 88.8을 기록, 전 분기 대비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물량 쿼터 폐지로 하락 폭을 일부 상쇄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의 경우 112.7을 기록해 1분기(64.4)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 1분기의 기저 효과와 함께 인공지능(AI) 투자 확대로 인한 고부가 반도체 수요 확대, 범용 반도체 가격 반등 기대 등과 맞물려 수출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밖에 선박(140.6)도 액화천연가스(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출 확대로 전 분기에 이어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조사됐다.
2분기 주요 수출 애로요인으로는 구리 등 비철금속 가격 상승으로 인한 '원재료 가격 상승'(19.2%), '환율 변동성 확대'(14.2%),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13.7%), '수출 대상국의 수입 규제'(10.8%) 등이 꼽혔다.
양지원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수출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며 "급변하는 무역환경 속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통상 정책 변화를 주시하고, 기존 생산 네트워크를 점검하며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EBSI=다음 분기 수출 경기에 대한 국내 수출 기업들의 전망을 조사·분석한 지표. 100을 기준으로 전 분기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면 100을 상회하고, 악화할 것으로 예상되면 100을 하회한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직무 복귀 vs 조기 대선…4월 4일은 尹대통령 '운명의 날'
순대 6개에 2만5000원?…제주 벚꽃 축제 '바가지'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