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침체, 경쟁 심화 등으로 고난을 겪고 있는 유통업계가 비용 절감 노력의 하나로 임원 수와 관련 비용을 적잖게 줄인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주요 유통사 사업보고서 등에 따르면, 이마트(이마트에브리데이 포함)는 지난해 말 기준 미등기 임원 수가 32명으로 전년(42명)에 비해 10명(23.8%) 감소했다.
이에 따라 이마트의 미등기임원 연간 급여총액도 283억3천900만원에서 220억300만원으로 22.4% 줄었다.
미등기임원 1인당 평균 급여는 6억7천500→5억9천800만원으로 11.4%나 삭감됐다.
신세계 미등기임원도 43명에서 38명으로 5명(11.6%) 감소했고, 미등기임원 연간 급여총액 역시 297억2천만원에서 253억3천900만원으로 14.7% 줄었다.
롯데쇼핑 또한 미등기임원 수를 81명에서 75명으로 6명(7.4%) 줄였으나, 미등기임원의 연간 급여총액은 273억4천900만원에서 278억800만원으로 다소 증가했다. 이는 퇴직 임원의 퇴직금과 함께 2023년 호실적에 따른 성과급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게 롯데쇼핑의 설명이다.
현대백화점그룹은 미등기임원 수는 37명으로 동일했으나, 연간 급여총액은 169억2천만원에서 145억4천800만원으로 14.0% 줄었다.
내수 침체 장기화, 온라인 유통시장의 급성장 등으로 실적이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인건비를 축소하거나 성과가 부진한 임원들이 대거 짐을 싼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어두운 성장 전망 속에 수익 개선에 몰두하는 기업의 비용 절감 노력과도 연결된다.
유통 대기업의 전체 직원 수도 대체로 감소했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기준 이마트(이마트에브리데이 포함)의 직원 수는 2만4천548명으로 전년(2만6천13명)보다 1천465명(5.6%) 감소했다.
롯데쇼핑 직원 수도 같은 기간 1만9천676→1만8천832명으로 844명(4.3%) 줄었다.
이는 국내 이커머스(전자상거래)의 선두 주자인 쿠팡이 고용을 크게 늘리며 규모를 키워가는 것과 대비를 이룬다.
쿠팡의 직고용 인원은 지난해 기준 8만89명으로 전년(6만9천57명)보다 16.0% 늘었으며, 쿠팡의 직고용 규모는 국내 기업 가운데 삼성전자(12만5천593명)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내년까지 3조원을 투자해 9개 지역에 물류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 있는 만큼 약 1만명이 추가 고용될 것으로 쿠팡은 전망한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오프라인 유통업의 경우 다양한 업무가 인공지능(AI) 또는 자동화로 전환돼 앞으로도 직원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겠으나 쿠팡과 같이 성장하는 이커머스 업체는 물류 영역을 중심으로 관련 인력이 계속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