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 외교 수장들이 지난 22일 일본 도쿄에서 한 자리에 모였다. 2023년 11월 부산에서 열린 이후 처음이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은 이날 도쿄 외무성 이쿠라공관에서 '제11차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열어 협력 방향 및 지역 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조 장관은 회의 이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중일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의 유지가 3국의 공동 이익이자 책임임을 확인했다"며 "3국이 유엔 안보리(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는 한편, 북한의 도발 중단과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불법적 러북 군사협력은 즉각 중단돼야 하며 북한이 우크라이나 종전 과정에서 잘못된 행동에 대해 보상받아서는 안 된다"고도 강조했다.
이와야 일본 외무상은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과 러북 군사협력, 암호자산 탈취 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며 "북한의 비핵화가 공통의 목표이며 안보리 결의의 완전한 이행을 비롯해 긴밀히 의사소통하고 싶다는 점을 이야기했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 측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3국이 협력해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했지만, 북핵·미사일이나 북러 군사협력 문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3국 장관은 교류 협력 강화 의지도 재확인했다.
조 장관은 "국민 간 인적 교류와 소통은 3국 협력 강화의 중요한 토대"라며 "3국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할 때 보다 평화롭고 번영하는 미래를 만들고 과거의 상처도 치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왕이 주임은 "역내 경제통합을 추진할 것도 합의했다"며 "3국은 자유무역협상(FTA) 재개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확대 추진, 지역 공급망 원활화를 위한 대화와 소통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이 주임의 이와 같은 발언은 최근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자국 중심주의 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중국이 역내 경제 협력을 주도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언급으로 풀이된다.
한편, 3국 장관들은 한중일 협력 사무국(TCS) 사무총장단 임기를 연장하는 의정서에도 서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초선들 "30일까지 마은혁 미임명시, 한덕수 포함 국무위원 모두 탄핵" [성명서 전문]
'이재명 무죄' 선고한 최은정·이예슬·정재오 판사는 누구?
역대급 재앙된 '괴물 산불'…미숙한 대처가 더 키웠다
우원식 의장, 韓대행 '마은혁 미임명' 권한쟁의 심판 제기
이재명 망언집 읽은 안철수 "극히 위험한 사람…절대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