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재명, 유발 하라리 교수 만나 'K엔비디아' 거론…AI 공공 투자 구상 강조

이재명·하라리, 100분 간 인공지능 주제 대담
이재명 "AI 기술 기업 엄청난 부 누릴 것…공공투자로 수익 나눔"
하라리 "AI 정부 투자 필요…원칙적으로 정부 개입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사피엔스'의 저자이자 이스라엘의 세계적 석학인 유발 하라리 전 히브리대 역사학과 교수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인공지능(AI)을 주제로 대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세계적인 석학과 인공지능(AI)을 주제로 대담을 하며 경제 행보를 이어갔다. 자신의 'K 엔비디아' 발언을 언급하면서 AI 산업에 대한 공공 부문 투자 구상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22일 국회 사랑재에서 '사피엔스'의 저자인 유발 하라리 전 히브리대 교수를 만나 "(AI 산업은) 기술 개발 능력이 있는 거대기업이 엄청난 부를 누리게 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것을 제지할 수도 없고 세금을 매기는 것은 저항이 심하다. AI 산업을 공공부문에서 투자해서 수익을 나눌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이 대표는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한국에 엔비디아와 같은 회사가 생길 경우 30%를 국민 지분으로 한다면 세금에 크게 의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그는 "(AI)산업에 대한 공공 투자 참여를 말했다가 공산주의자라고 공격을 많이 받았다"며 "이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하라리 교수에게 질문했다.

이에 하라리 교수는 "경제학자가 아니므로 경제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대신 19세기 산업혁명 당시 아동 노동 문제를 거론하며 정부 개입을 강조했다.

그는 "아동 노동은 비윤리적일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좋지 않다.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 교육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더 좋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며 "정부가 학교를 짓는 등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지금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하라리 교수는 AI 혁명이 장기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술 발전으로 인력을 점점 더 대체하게 될 경우 이에 맞춰 사람들의 재훈련 등 비용이 소모되고 심리적 지원, 정신 보건 투자 등 어떤 식으로 든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번 대담은 AI를 주제로 100분간 진행됐으며 하라리 교수가 최근 출간한 '넥서스'를 홍보하기 위해 방한하면서 성사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