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국통' 韓 대행, 트럼프發 관세 '태풍'부터 막아야

'격 문제' 없이 외교 복원 기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위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위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복귀했지만 그가 짊어져야 할 짐의 무게는 직무 정지되던 지난 연말보다 더욱 무거워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와 정상 외교를 복원하고 소통을 강화해 관세 전쟁을 대처해달라는 경제계의 기대까지 더해져서다.

한덕수 권한대행은 24일 업무 복귀 일성으로 "급한 일부터 추스려 나가겠다"며 "제가 앞장서서 통상과 산업의 담당 국무위원과 민간과 같이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대응을 준비하겠다. 지정학적 대변혁의 시대에 대한민국이 발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이 명시적으로 말하지는 않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관세 인상 등 통상 압박을 풀어나가는 데 집중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간 한국은 트럼프 2기 출범에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권한대행이던 때에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추진해왔으나 끝내 성사되지 않았다. 최 부총리가 기재부 장관이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카운터파트'(협상 상대)이지 트럼프 대통령과는 격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인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국내 경제계의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도 심각한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달 2일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 관세를 예고했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은 무역 적자 규모가 큰 국가를 중심으로 먼저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은 미국의 무역 적자국 8위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최근 미국 워싱턴 D.C를 찾아 정부 입장을 전달하는 데 주력하기도 했다.

한 경제계 관계자는 "한 권한대행이 경제 분야를 두루 경험한데다 주미대사도 지내면서 미국통으로 알려진 터라 미국과의 관계 설정에 분명한 강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총리 자격인 한 권한대행은 '격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적을 테니 미국 행정부와 직접 소통이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