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외국인 유학생 10명 중 8명은 졸업 후에도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중소기업중앙회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805명을 대상으로 한 '외국인 유학생 졸업 후 진로 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86.5%가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했다.
특히 전문학사 과정 유학생의 90.8%가 높은 취업 의지를 보였다. 권역별로는 비수도권(87.2%)이 수도권(85.3%)보다 소폭 높았다.
한국에서 취업하고 싶은 이유로는 '한국에 계속 살기 위해서'가 35.2%로 가장 많았고 '본국 대비 높은 연봉 수준'(27.7%), '관심 있는 분야에서 일하고 싶어서'(25.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취업에 필요한 특정 활동(E-7) 비자를 취득하기가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이 66.7%에 달했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졸업 후 고용계약에 따라 취업 활동을 하려면 E-7 비자를 부여받아야 한다.
E-7 비자 취득이 어려운 이유로는 'E-7 비자로 채용하는 기업이 적어서'가 40.0%를 차지했고 'E-7 비자의 직종이 제한적이어서' 21.4%, 'E-7 비자를 제공하는 기업의 정보가 부족해서' 19.6% 등의 순이었다.
현 제도상 유학(D-2)이나 구직(D-10) 비자에서 전환이 안 되는 비전문 취업(E-9) 비자에 대한 수요도 높다. 유학생 58.8%는 E-9 비자가 허용될 경우 이를 취득해 중소기업 생산직 등 현장에서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특히 전문학사 유학생 67.2%는 E-9 비자 취득을 희망했다.
현재 외국인 유학생의 E-9 비자를 허용하는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은 지난해 11월 발의됐지만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이명로 중기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많은 외국인 유학생이 E-7 비자 취득의 어려움으로 취업 기회가 제한적이다. 이는 구인난을 겪는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한국어 능력을 갖춘 유학생을 중소기업 현장에서 적극 활용하면 생산성 향상과 산업재해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E-9 비자 전환 허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초선들 "30일까지 마은혁 미임명시, 한덕수 포함 국무위원 모두 탄핵" [성명서 전문]
전한길, '尹파면' 촉구 한강 작가에게 쓴소리 "비수 꽂는일, 침묵했어야…"
민주당 권리당원의 외침 "전국이 불타는데 춤 출 때냐"
우원식 의장, 韓대행 '마은혁 미임명' 권한쟁의 심판 제기
이재명 망언집 읽은 안철수 "극히 위험한 사람…절대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