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 산불로 신라 시대 '천년고찰'인 고운사와 운람사가 전소되면서 고운사 도륜스님이 "정말 죄송하다"며 끝내 눈물을 보였다.
지난 26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50분쯤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가 산불에 완전히 소실됐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때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경북을 대표하는 대형 사찰 중 하나였다. 고운사는 지역 역사와 불교문화 연구에 중요한 사찰로 평가받고 있다.
앞서 산불 발생 첫날인 지난 22일에는 의성군 안평면에 있는 운람사가 전소했다. 운람사 역시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천년고찰로, 신라 신문왕 때에 국내 불교를 대표하는 의상 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산불로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모신 보광전 등 운람사의 전각과 부속건물 등은 물을 뿌리거나 방염포를 씌웠으나 결국 지킬 수 없었다.
다행히 화마가 운람사를 덮치기 전 아미타삼존, 탄생불, 신중탱화 등 문화재급 유산은 근처 조문국박물관으로 옮겨져 화를 면했다. 옮길 수 있는 불상과 불화, 고서 등을 영주 부석사 성보박물관으로 옮겼다.
이에 고운사 도륜스님은 KBS와의 인터뷰에서 "보광전 앞까지 타게 되니까 어쩔 수 없었고, 스님들과 유물을 옮기다가 인명 피해가 나면 안 되니 철수하라고 해서 끝까지 남아있다가 철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화재가 손상되면 세월을 복원할 수 없기 때문에 지켜야겠다는 마음으로 급하게 이동 조치를 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도륜스님은 "천년고찰을 이어왔는데 우리 대에서 부처님 전각을 잃어버리게 돼서 정말 죄송하다"며 끝내 눈물을 흘렸다.
그러면서 목이 멘 목소리로 "부처님 도량을 지키지 못한 것에 정말로 죄송하고 부처님께 참회를 드린다"며 "산불이 빨리 진화돼서 종료되기를 바라고 다시 복원해서 예전과 같이 기도하고 희망을 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해당 영상을 본 네티즌들은 "눈물 흘리는 모습에 저도 같이 눈물 난다. 스님은 아무 잘못이 없는데 마음이 아프다" "스님들은 충분히 노력하셨다" "우리도 이렇게 마음이 무너지는데 스님들은 얼마나 속상하실까" "스님 사과하지 마세요" 등의 위로를 건넸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초선들 "30일까지 마은혁 미임명시, 한덕수 포함 국무위원 모두 탄핵" [성명서 전문]
전한길, '尹파면' 촉구 한강 작가에게 쓴소리 "비수 꽂는일, 침묵했어야…"
민주당 권리당원의 외침 "전국이 불타는데 춤 출 때냐"
이재명 현충원에서 또 "예의가 없어" 발언... 왜?
이재명 망언집 읽은 안철수 "극히 위험한 사람…절대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