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폐쇄망 환경에서도 작동 가능한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국내 금융권 내 AI 활용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한국은행과 함께 자사의 '뉴로클라우드 포 하이퍼클로바X(NeuroCloud for HyperCLOVA X, 이하 뉴로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전용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오는 10월부터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양측은 한국은행이 보유한 내부 데이터를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모델에 학습시켜 금융·경제 분야에 특화된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한다. 해당 AI는 문서 요약, 검색, 번역, 질의응답 등 기본 기능뿐 아니라, 경제 현안 분석을 위한 조사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네이버클라우드 측은 이번에 도입되는 뉴로클라우드가 폐쇄망 환경, 즉 고객의 데이터센터 내에 클라우드 인프라를 직접 설치해 외부와의 연결 없이 작동하는 온프레미스(On-Premise)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내부 데이터의 외부 유출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보안을 중시하는 기관에 적합한 모델이라는 평가다.
한국은행은 그간 보안과 데이터 통제를 이유로 생성형 AI의 도입에 신중한 입장을 보여 왔다. 그러나 이번 계약으로 인해 폐쇄망에서도 가동 가능한 독립형 AI 도입의 길이 열리면서 AI 기술을 활용한 업무 혁신의 기반이 마련됐다.
양 기관은 우선 한국은행 임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기본 기능을 중심으로 AI를 활용하고, 이후에는 직원 각자에게 맞춤형으로 대응하는 'AI 에이전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한국은행이 축적한 데이터와 하이퍼클로바X 기술을 결합해 대국민 서비스 분야로도 AI 활용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양사는 이를 위한 서비스 공동 발굴도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네이버클라우드 측은 최근 국내외에서 '소버린 AI(Sovereign AI)'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며, 자사가 클라우드 인프라와 대형언어모델(LLM) 기술을 모두 보유한 국내 유일의 기업 중 하나라고 밝혔다. 소버린 AI는 국가나 기관이 자국 내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뜻한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계약은 금융 분야에서 폐쇄망 기반 AI를 도입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네이버클라우드가 보유한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유연한 서비스 운영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초선들 "30일까지 마은혁 미임명시, 한덕수 포함 국무위원 모두 탄핵" [성명서 전문]
민주당 권리당원의 외침 "전국이 불타는데 춤 출 때냐"
이재명 현충원서 또 "예의가 없어" 발언…왜?
전한길, '尹파면' 촉구 한강 작가에게 쓴소리 "비수 꽂는일, 침묵했어야…"
박찬대 "한덕수, 4월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 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