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동산병원 대장암 팀이 고위험 2기 대장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를 통한 생존율 향상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유럽종양학회지(European Journal of Surgical Oncology)에 실렸다.
28일 계명대동산병원에 따르면 대장암 팀 연구진은 국내 14개 대학병원과 공동으로 2010년~2017년 1천801명의 2기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보조항암치료 시행 여부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미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s instability, MSI) 상태와 무관하게 고위험 요인을 가진 환자들에게 보조항암치료가 전체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을 유의미하게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MSI란 DNA 복구 시스템이 고장 나면서 DNA 속 염기서열 중 짧은 반복 서열이 불안정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주로 대장암, 위암, 자궁내막암 등에서 나타나며, MSI가 높은 암은 면역항암제 치료에 반응이 좋을 가능성이 크고 일반적으로는 좋은 예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위험 요인이 있는 MSI-고환자 그룹에서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를 시행한 경우, 전체 생존율이 72.2%에서 97.8%로 증가했으며, 무병 생존율 또한 67.1%에서 88.9%로 상승했다.
또한, MSI-저/미세위성 안정성(MSS) 그룹에서도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 시행 시 전체 생존율은 86.9%에서 95.6%로, 무병 생존율은 76.7%에서 90.4%로 개선되었다. 반면, 고위험 요인이 없는 환자들의 경우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의 유의미한 생존율 향상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논문의 제1저자인 배성욱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2기 대장암 환자 중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들에게 보조항암치료가 생존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종양의 MSI 상태와 무관하게 고위험 요인이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예측 인자임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보령제약의 학술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대장암 치료 가이드 라인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계명대동산병원 관계자는 "향후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환자 개개인에 맞춘 최적의 치료 방법을 도출하고, 정밀의학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치료가 대장암 환자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권리당원의 외침 "전국이 불타는데 춤 출 때냐"
이재명 현충원서 또 "예의가 없어" 발언…왜?
박찬대 "한덕수, 4월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 결심"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국무위원 전원 탄핵?…행정부 마비, 민란 일어날 것" [일타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