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대금 정산 지연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의 결제 서비스가 결국 중단됐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발란은 지난 28일 밤부터 상품 구매·결제가 모두 멈췄다.
신용카드사와 전자결제대행(PG)사가 서비스를 중단하고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 발란의 자체 결제서비스인 발란페이도 막힌 상태다.
현재 결제창엔 '모든 결제 수단 이용이 불가하다'는 안내문만 뜬다.
발란은 지난 24일 일부 입점사에 대한 판매대금을 지급하지 못해 논란이 된 바 있다.
발란 측은 정산 오류가 발생해 정산 일정을 미뤘다며 지난 28일까지 일정 재개 일정을 재공지하겠다고 밝혔으나 끝내 실행되지 못했다.
최형록 대표는 정산 지연에 대한 사과문을 내고, 이번 주 중 입점사를 직접 만나 그간의 경위와 계획을 설명하겠다고 해명했다.
업계에선 이번 정산 지연 사태가 발란이 겪고 있는 유동성 위기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2015년 설립된 발란은 2022년 한때 기업가치 3천억원까지 인정받았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판매 부진과 고객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최근 기업가치가 10분의 1인 300억원대로 떨어졌다.
2020∼2023년 4년간의 누적 영업손실액은 724억원에 달하며, 지난해에도 적지 않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며 지난 2023년부터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게 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거래가 침체한 상황에서 어떻게든 매출을 일으키고자 10% 초반대의 판매 수수료를 초과하는 20∼30% 할인쿠폰을 남발했고, 결국 플랫폼의 총체적인 부실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현충원서 또 "예의가 없어" 발언…왜?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박찬대 "한덕수, 4월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 결심"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