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산업생산과 소비·투자 지수가 모두 늘면서 '트리플 증가'를 기록했다. 올해 1월 전산업 생산, 소매판매, 설비투자 지표가 나란히 줄어 트리플 감소세를 보인 이후 한 달 만에 증가 전환이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 지수는 111.7(2020년=100)로 전달보다 0.6%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해 12월 1.8% 늘어난 뒤 1월 3.0% 줄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은 1차 금속(-4.6%) 등에서 줄었으나 전자부품(9.1%), 전기장비(6.0%) 등에서 늘어 전달보다 1.0% 증가했다. 건설업 생산은 1.5% 늘었다. 건축(-2.2%)에서 실적이 줄었지만, 토목에서 13.1% 늘어난 덕분이다. 이에 따라 작년 8월(-2.1%) 이후 매달 우하향 하던 그래프가 7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정보통신(-3.9%)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도소매(6.5%), 금융·보험(2.3%) 등에서 생산이 늘면서 전월 대비 0.5% 증가했다. 특히 숙박·음식점업은 3.0% 줄며 2022년 2월(-8.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말 제주항공 참사와 탄핵 정국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가 위축된 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 지수도 내구재 등 판매가 늘면서 전달보다 1.5% 증가했다. 특히 승용차(13.5%) 등 내구재(13.2%) 판매가 늘어난 게 큰 영향을 끼쳤다. 승용차 판매는 보조금 집행 영향으로 2020년 3월(48.6%)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 투자가 늘면서 전달보다 18.7% 증가했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앞으로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1p 올랐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동행종합지수 순행변동치가 상승세로 전환하는 등 지난달 경기가 전체적으로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도 "폭 자체가 크지 않아 향후 흐름을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현충원서 또 "예의가 없어" 발언…왜?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박찬대 "한덕수, 4월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 결심"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