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이달 초 전체 회의를 열고, 6·25전쟁 당시 북한 인민군(人民軍)이 국군 부상병과 민간인 환자 1천여 명을 총살한 '서울대병원 학살 사건'에 대해 '집단(集團) 학살(虐殺)'로 규정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학살 사건이 발생한 지 75년 만이고, 노무현 정부 당시인 2005년 진실화해위가 출범한 지 20년 만의 일이다. 이렇게 오랜 시간을 지체해야 했는지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
'서울대병원 집단 학살 사건'은 이미 미(美) 극동사령부 '한국전쟁범죄조사단(KWC)'의 북한 포로 및 사건 목격자 진술 등이 담긴 80쪽짜리 결과 보고서가 있고, 희생자를 기리는 위령비(慰靈碑)가 서울대병원 후문에 '이름 모를 자유전사의 비'라는 제목으로 1963년 6월 20일 세워졌다.
진실화해위는 학살 주범으로 인민군 43사단 대좌 이임철, 문화동 임시인민위원회 문화부 중대장 이강국 등 북한 인민군 50여 명을 가해자로 최종 규정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강국은 미군에 붙잡힌 뒤 "(학살 이유로) 그들은 우리 공산주의자들의 적이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처럼 명확한 북한 인민군의 학살 증거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진실화해위와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 인민군의 만행(蠻行)을 알고도 무시해 왔던 셈이다.
이는 우리 정치권과 역사학계가 국군이나 미군에 의한 민간인 피해만 집요하게 들춰내고 비난해 왔던 좌파 이념 편향성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노무현·문재인 정권 시절 진실화해위는 보도연맹이나 여순사건 등 국군과 경찰 등에 의한 민간인(民間人) 희생(犧牲) 사건만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이번 사건의 조사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인 2022년 겨우 시작됐다.
진실화해위는 유족들 보상을 위한 입법, 북한의 공식 사과 요구, 추모 사업 지원, 역사 교과서 반영 및 교육 등을 권고(勸告)할 예정이라고 한다. 바람직한 방향이다. 진정한 화해를 위한다면 이념이 아니라 진실(眞實)을 추구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직무 복귀 vs 조기 대선…4월 4일은 尹대통령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