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에서 생성형 AI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적 뒷받침을 하기 위한 포럼이 국회에서 개최됐다.
31일 국민의힘 이달희 의원은 같은 당 최수진·박충권 의원과 함께 '생성형AI 공공부문활용 활성화 정책과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 현장에는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해 20여 명의 의원들이 참석했다.
이날 포럼은 산업·공공·사회 전반에 걸쳐 생성형AI가 창출할 수 있는 가치와 지속가능한 AI 생태계를 꾸리고 실질적인 정책과 대안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번째 발표를 맡은 임춘성 인공지능연구원 부사장은 '생성형 AI 국내외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대한민국이 보유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력과 ICT 인프라를 통해 AI 인프라 고도화, AI 인재 양성, 글로벌 협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경석 영남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공공부문 AX전략'을 주제로 국내외 사례의 성공 요인과 실패 요인을 분석한 후 부처별 도메인 특화형 AI 개발체계 확립, 국가 범용형 공공 생성형AI 개발, 민간 범용형 생성형 AI 사용 가이드라인 및 촉진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오 교수는 향후 AI와 함께 일하는 정부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기도 했다.
'지방정부의 Al행정혁신'을 주제로 발표한 최한별 국립군산대 행정학과 교수는 디지털 트윈과 정책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공가치 창출을 강조하면서 법과 제도의 정비, 거버넌스 혁신, 조직문화 및 인재양성, 민간협업 생태계 조성 등을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송석현 한국디지털정부학회 회장이 좌장을 맡고, 김영덕 한국입법기자협회 사무총장, 강성주 세종대 전자정보통신공학과 초빙교수, 이재용 식품안전정보원 원장, 정나영 부산시 미래기술전략국 국장, 최준영 서울연구원 대외협력센터장 등이 패널로 참석했다.
인사말에서 AI로 직접 예술작품 활동에 나서고 있다고 밝힌 이달희 의원은 "생성형 AI 기술이 공공부문에 안착돼 민간이 버금가는 서비스 혁신과 정책 결정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포럼에서 도출된 다양한 의견을 제도화하는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박찬대 "한덕수, 4월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 결심"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순대 6개에 2만5000원?…제주 벚꽃 축제 '바가지'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