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국 미분양 주택 수 감소세 전환…'준공 후 미분양' 19개월째 증가

국토교통부 '2025년 2월 주택통계'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 지속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2월 주택통계에 따루면 지난 2월 대구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여전히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원회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등이 부동산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수도권 부동산 대출 문턱을 높이기로 한 지난달19일 대구 서구의 한 아파트 단지에 할인분양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2월 주택통계에 따루면 지난 2월 대구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여전히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원회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등이 부동산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수도권 부동산 대출 문턱을 높이기로 한 지난달19일 대구 서구의 한 아파트 단지에 할인분양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2월 전국 미분양 주택 가구 수 증가세가 꺾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소위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 가구 수는 증가세가 계속됐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61가구로 전월(7만2천624가구)에 비해 3.5% 감소했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9천748가구에서 1만7천600가구로 감소했고, 지방 미분양 역시 5만2천876가구에서 5만2천461가구로 소폭 감소했다. 미분양 주택은 대구가 9천51가구로 전월(8천742가구)에 비해 3.5%(309가구) 증가했다. 경북은 5천881가구로, 전월(6천913가구)에 비해 14.9%(1천32가구) 감소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는 전국이 2만3천722가구로, 전월(2만2천872가구)에 비해 3.7%(870가구) 증가해, 19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대구는 3천67가구로 전월(3천75가구)에 비해 0.3%(8가구) 소폭 감소했다. 경북은 2천502가구로 전월(2천214가구)에 비해 13%(288가구) 증가했다.

대구경북의 주택 인허가와 매매거래량은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전월세 거래는 전년 대비는 물론 5년 평균보다도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2월 주택 인허가 실적(누적)은 대구 26가구로, 전년 동월(1천247가구)에 비해 97.9% 감소했다. 경북은 938가구로, 전년 동월(3천12가구)에 비해 68.9% 감소했다.

주택매매거래량은 대구 2천102가구로, 전년 동월(2천8호)에 비해 4.7% 감소했다. 지난 5년 평균에 비해 20.6% 감소했다. 경북은 2천752가구로, 전년 동월(2천565가구)에 비해 7.3% 증가했다. 지난 5년 평균에 비해 17.3% 감소했다.

반면 전월세 거래량은 대구 8천156가구로, 전년 동월(7천763가구)에 비해 5.1% 증가했다. 지난 5년 평균에 비해 21.8% 증가했다. 경북은 7천788가구로, 전년 동월(5천803가구)에 비해 34.2% 증가했다. 지난 5년 평균에 비해 39.2% 증가했다.

2025년 2월 주택 미분양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2025년 2월 주택 미분양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2025년 2월 주택 건설 실적. 국토교통부 제공
2025년 2월 주택 건설 실적. 국토교통부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