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오는 8일까지 산불 피해 5개 시·군 대상 피해 사실 조사 실시

경북 의성에서 시작한 산불이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인근 4개 시군으로 확산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 산불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주불 진화 다음날인 29일 안평면 괴산리 산불 최초 발화 추정 지점 상공에서 인명피해가 가장 컸던 영덕 방면으로 바라본 모습. 검게 그을린 능선이 끝없이 펼쳐져 있다. 이번 산불로 발생한 산림 피해 면적은 4만5천157㏊(헥타르)로 대구 면적 약 3분의 1이 소실됐으며, 26명이 사망하고 대피 인원 3만 7천여명 중 6천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경북 의성에서 시작한 산불이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인근 4개 시군으로 확산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 산불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주불 진화 다음날인 29일 안평면 괴산리 산불 최초 발화 추정 지점 상공에서 인명피해가 가장 컸던 영덕 방면으로 바라본 모습. 검게 그을린 능선이 끝없이 펼쳐져 있다. 이번 산불로 발생한 산림 피해 면적은 4만5천157㏊(헥타르)로 대구 면적 약 3분의 1이 소실됐으며, 26명이 사망하고 대피 인원 3만 7천여명 중 6천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등 5개 시·군에 대한 피해 사실 조사가 오는 8일까지 진행된다.

경상북도는 5개 시·군, 관계기관과 280여명의 합동 조사복구 추진단을 구성한다고 1일 밝혔다. 추진단에는 산림과학원, 한국치산기술협회, 산림조합, 산림기술사, 산림엔지니어링 등이 포함된다.

경북도는 이를 통해 산림 피해 및 복구 조림 면적, 산림휴양·교육시설, 토사유출과 재해 우려지에 대한 사방 시설 대상지 등에 대한 조시에 나선다. 또 버섯재배사 등 임업용 시설과 조경수, 산양삼 등 산림작물에 대한 피해액을 조사해 오는 8일까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한다. 기한 내 NDMS내 입력이 이뤄져야 복구 지원 등이 가능하다.

조사 결과에 따라 도는 산사태 발생 우려가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산림생태계 복원을 고려한 산불피해지 위험목 제거 사업 등을 우선 추진한다. 또 여름철 집중호우 이전에 토양유실 등 2차 피해 우려지에 대한 긴급 복구공사도 함께 시행하기로 했다.

산림 피해지에 대해선 정밀 산림조사 후 자연환경과 산림기능 등을 고려해 내년부터 조림 사업을 실시하고, 산불로 인해 황폐화한 사면·계곡에 대해서는 사방사업을 추진한다. 산지 사면과 산림 유역 등 산사태 우려 지역에 대해선 지난달 31일부터 긴급진단을 시행하고 있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사유 시설 피해를 본 임업인들이 피해 조사에 빠져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6일까지 해당 시·군으로 반드시 신고해 달라"면서 "신속하고 철저한 피해조사를 하고 피해지역에 대한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