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동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안동 남후농공단지 입주 기업들의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공장 복구 및 보상 문제는 물론, 근로자들이 대거 실직 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산불이 코앞까지 다가온 상황임에도 턱없이 부족한 소방력이 투입돼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이번 산불로 안동 남후농공단지 내 기업 42곳 중 10곳이 전소되고, 14곳이 일부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피해를 입은 기업에서 일하던 근로자들도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게 됐다. 피해를 입은 공장 등이 언제 복구될지 알 수도 없는 데다, 막대한 재산 피해로 다시 입주를 할 수 있을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 근로자는 "반나절 만에 일터를 잃었지만 피해를 입은 대표에게 따질 수도 없는 노릇 아니냐"며 "아르바이트라도 시작하기 위해 전화를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인들은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복구 및 지원 특별법' 제정을 포함해, 시·도 차원의 예비비 지원, 공장 철거비 보조 및 일정 조정, 화재 보험 보상 절차 간소화 등을 함께 요구했다.
이와 관련 안동시 등 전날부터 남후농공단지 내 임시관리사무소에 '산불 피해기업 원스톱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청, 고용노동부, 기술보증기금 등 8개 기관이 참여해 피해 접수와 경영 애로 상담, 고용 안정 등을 지원하기로 하면서 피해 접수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화재로 인한 보험 보상금 지급은 피해 조사와 약관에 따른 제한으로 인해 지연되거나 거절될 수 있다. 피해 조사에만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는 데다 자연재해 경우 지급이 안 되는 상품에 가입된 기업이 상당수라는 것이다.
D사 대표는 "공장 내 부주의로 화재가 날 경우는 생각했어도, 자연재해로 공장에 불이 날 것이라는 생각은 못해 봤다"며 "자연재해로 인한 화재를 면책(보장하지 않음) 조건으로 보험에 가입한 기업들은 보험사를 통해 보상을 받을 길도 없어 보인다"고 토로했다.
이번 화재를 인재(人災)라고 주장하는 입주 기업 대표들의 성토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31일 열린 대책 회의에서 입주 기업 대표들은 "소방력만 충분히 투입됐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던 화재였다"며 대응 실패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곳 화재는 지난 23일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이틀 만에 남후농공단지로 번지면서 발생했다. 하지만 당시 배치된 소방차는 겨우 1대가 전부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단지 내로 산불이 확산될 것이라는 예상에도 이렇다 할 조치가 없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A사 대표는 "산불 위험이 뻔히 예견됐지만, 농공단지에는 소방차 1대가 전부였다"며 "문화재 보호에만 집중한 진화 대응이 기업 피해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B사 대표는 "25일 오후 5시쯤 불길이 번질 당시 직원들만 남아 맨몸으로 불을 막았고, 행정당국의 대응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C사 대표도 "저온창고 5곳이 전소됐고, 당시엔 소방 인력도, 물도 부족해 화재 진압을 포기해야 할 상황이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박지원 "탄핵 심판 5:3?…기각하면 제2의 이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