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미국 국채 보유 논란과 관련해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1일 "국민들의 나라 경제에 대한 걱정을 실컷 이용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최고위원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환율 1천500원 육박, 이런 보도를 보고 있자니 최상목의 미 국채 투자에 더욱 분노하게 된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명백한 위헌행위에도 경제가 불안정해질까봐, 환율이 급등할까봐 국민들은 경제수장을 탄핵하는 걸 꽤 반대했고, 야당들도 역시 조심스러웠다"라며 "그런데 그런 국민들의, 국회의 걱정과 배려를 그는 보기좋게 배신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비난이 빗발치니 그는 2018년 딸 유학비로 갖고 있던 달러로 미 국채를 샀다며 변명한다. 즉, 어차피 달러로 샀으니 환율변동으로 얻을 이익이 별로 없었다는 뜻"이라며 "아직도 국민들이 왜 분노하는지 모르는 모양"이라고 했다.
이 최고위원은 "그 국채 매입을 본래 갖고 있든 달러로 샀든 말든 상관없다. 환율안정이라는 대한민국의 국익과 환율급등이라는 미 국채투자에 따른 사익이 상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며 "적어도 대한민국 경제수장이 된 뒤에는 사지 말았어야 하는 것이고, 샀다면 팔았어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심지어 그는 2023년 인사청문회 때 이미 미 국채 보유가 문제가 돼 팔겠다고 하고 팔았었다. 2024년 3월 재산공개목록에서 없어졌으니까"라며 "그런데 그 후에 다시 산 것이다. 철저히 국민을 기만한 셈"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27일 공개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1억9천712만원 상당의 30년 만기 채권 상품을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다.
기재부 측은 최 부총리가 지난 2017년 공직에서 퇴직한 뒤 자녀 유학을 준비하며 달러를 보유하게 됐고, 이 자금을 활용해 지난해 중순 미국 국채를 매입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최 부총리가 경제 수장으로서 자산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환율 급등과 같은 민감한 사안에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고 주장하며 즉각 직무에서 회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박지원 "탄핵 심판 5:3?…기각하면 제2의 이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