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위기때마다 두드러지는 경북도의 현장형 적극 행정, 산불 피해 복구 대전환 꾀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 ▷긴급재난지원금 30만원 지급 ▷절차 뛰어넘은 국가 유산 주변 수목 정리로 화재위험 사전예방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모듈러 주택 배치 ▷피해지역 농기계 즉각 수급 방안
경북도 ▷수송기 도입 등 선진형 산불 진화 체계 마련 ▷특별재난지역 선포 요구 ▷경북 산불피해복구 및 지원특별법 제정 건의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의성실내체육관을 찾아 산불 이재민을 위로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의성실내체육관을 찾아 산불 이재민을 위로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위기 때마다 경북도청의 현장형 행정이 빛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사상 최대의 역대급 산불 피해 속에서도 이철우 경북도지사에 적극 행정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평가다

경북도에 따르면 이 도지사는 ▷수송기 도입 등 선진형 산불 진화 체계 마련 요구 ▷특별재난지역 선포 요구 ▷긴급재난지원금 30만원 지급 ▷경북 초대형 산불피해복구 및 지원특별법 제정 건의 등의 산불 피해복구의 맥을 정확히 짚어내는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 도지사는 지난 22일 경북 의성지역에서 최초 산불이 발화하자, 즉각 의성 안평면에 마련된 현장 지휘 본부에서 현장 상황을 지휘했다. 이때 최상목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에게 담수 용량 2만 리터 이상의 수송기 도입 등 전면적인 선진형 산불 진화 장비 체계 도입을 요청했으며 피해지역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강력하게 건의했다.

특히 28일에는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산불 피해지역 5개 시군 27만명에게 1인당 3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 지원을 발표했다. 추가로 피해가 발생한 지역 역시 특별재난지역 추가지정을 요청했다.

경북도가 건의한 '특별법'에는 사회재난으로 분류되는 화재로 인한 피해에 대한 복구지원액을 자연 재난에 따라 상향 조정하고, 지역 경제 재건 및 공동체 회복을 위한 산불 피해지역 집중 지원안이 다양하게 담겨 있다.

아울러 즉각적인 현장형 정책지원으로 조속한 피해 대책이 마련되고 있다. 기존에 행정체계에서는 수일간의 시간이 걸리는 일을 간소화하고 피해 주민 보호를 위해 행정단계를 뛰어넘은 대응 조치를 추진했다. 경북도는 ▷절차 뛰어넘은 국가 유산 주변 수목 정리로 화재위험 사전예방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모듈러 주택 배치 ▷피해지역 농기계 즉각 수급 방안을 짜고 있다.

앞서 이 도지사도 26일 전대미문의 태풍급 산불로부터 봉정사, 병산서원 등 국가 유산을 지키기 위해 긴급히 주변의 수목 제거와 방염포 사용 사전 조치를 지시했고 그 결과 화마로부터 만휴정과 묵계서원 등을 지켜냈다.

문화유산 인근 수목 정리는 국가유산청과 산림청 등 까다로운 절차가 필요한 일이었지만 대통령 권한 대행에게 직보 후 사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추진력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피해 현장의 이재민들을 살펴본 후 모듈형 주택 100동과 임시 주거용 조립주택 26동을 공급해 신속한 주거 안정 대책도 마련한 바 있다.

이 도지사는 "평소와 같은 산불 대응복구 방식으로는 신속한 피해복구와 이재민들의 시름을 조속히 해결할 수 없다"며 "현장에 답이 있다는 평소 철학을 바탕으로 빠르고 과감한 행정 처리를 추진해 피부에 와 닿는 복구를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