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통상 갈등이 심화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제조업 전반이 관세 리스크의 직·간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기업 2천107개사를 대상으로 미국 관세 영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트럼프발 관세 정책의 영향권이라고 답했다.
영향권에 속한다고 답한 기업 가운데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 및 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1.7%)의 비중이 높았다. 이어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 기업'(17.9%), '미국에 부품 및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4.2%), '중국에 부품 및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3.8%) 등이 뒤를 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았다. 미국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에 부품,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가 다수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기업들은 미국 관세의 영향으로 '납품 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하고 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더라도 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이 대다수다. 이 외에도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 하락'(11.4%),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 '납품단가 하락'(6.2%)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기업들의 대응은 제한적이다. 관세에 대한 대응 현황에 대해 근본적인 대응책인 '현지 생산이나 시장 다각화 등을 모색 중'인 기업은 3.9%에 그쳤고, '대응 계획이 없다'고 답한 기업도 20.8%로 집계됐다.
영향권에 있는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대응 계획이 없다'(24.2%)고 답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민간 네트워크와 외교 채널을 통해 관세 영향 최소화에 힘쓰고 피해 업종에 대한 지원책을 세우는 한편, 장기적으로 관세와 같은 대외리스크를 이겨낼 경쟁력을 기르기 위해 기업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순대 6개에 2만5000원?…제주 벚꽃 축제 '바가지' 논란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