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동부권 5개 시·군의 '역대급 대형 산불' 피해가 시간일 갈수록 늘고 있다. 피해 신고 이후 앞으로 정밀조사가 이뤄지게 되면 더욱 피해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1일 경상북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주택 피해는 총 3천766개소다. 이 중 3천703개소가 전소됐다. 농·축산업 분야의 잠정 집계된 피해면적은 3천414㏊이다. 대형 산불로 시설하우스 365동이 불에 탔으며, 축사 212동과 농기계 5천506대도 소실됐다.
어업 분야에선 어선 16척이 피해를 입었고, 어민가옥 78채와 24어가의 어구창고, 정치망 어구 9틀도 소실됐다. 단전으로 인해 강도다리, 은어 등 양식어류 68만마리가 폐사하면서 36억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도 발생했다.
문제는 이러한 피해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전날 오전 도가 발표한 건축물 피해와 농업분야 피해 면적은 각각 3천556채 전소, 1천555㏊였다.
각 분야별 피해규모와 면적 등은 최초 집계와 비교하면 크게 늘었다. 경북도와 피해 5개 시·군이 주불 진화가 완료된 이후 발표한 지난달 28일 오후 5시 기준 산불로 발생한 건축물 피해는 2천412개소였다. 또 도가 농업 피해 현황을 처음 집계한 지난달 29일 오전 9시 기준으로 농업분야에선 482㏊가 피해를 입었고, 시설하우스와 축사 각 281동, 43동, 농기계 746대 등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었다.
도는 지난달 29일부터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 기준 총 2차례 피해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보다 더 정확한 피해 규모는 앞으로 정밀 조사 등을 거쳐 확정된다. 2020년 안동 산불과 2022년 울진 산불의 경우에도 진화 종료 이후 약 2개월 뒤에서야 정확한 산림 소실 면적, 재산 피해 등이 확정됐다.
경북도는 지난 31일 포항·칠곡 등 산불 피해를 입지 않은 나머지 16개 시·군에 공문을 보내고 산불 피해 조사에 필요한 공무원 135명을 파견해 달라고 긴급 요청했다. 이들은 앞으로 오는 6일까지 피해 시·군에 대한 1차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조사결과는 오는 6일까지 국가재난정보관리시스템(NDMS)에 입력이 완료돼야 복구 지원 등이 가능해진다. 이와 함께, 산림 분야에 대해선 오는 8일까지 피해액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산불을 강풍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면서 "신속하고 철저한 피해조사를 하고, 피해지역에 대한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순대 6개에 2만5000원?…제주 벚꽃 축제 '바가지' 논란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