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급 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경북 북동부권 5개 시·군에 기존 관행을 뛰어넘는 대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도 산불이 완진된 이후 공식석상과 자신의 SNS 등을 통해 도 차원을 넘어선 중앙정부의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수차례 강조하고 있다.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해 1일 오전 9시 기준 이재민 3천109명이 발생했다. 도는 이들 중 1천254명을 시·군 내 호텔·리조트나 연수시설로 이송했다. 아직 체육관이나 경로당 등에 머물고 있는 이재민에 대해서도 지역 내 숙박시설로 옮길 계획이다. 이 같은 결정은 이재민 대부분이 고령자인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한 '선제적 조치'로 평가된다.
도는 2023년 북부권 산사태 당시에도 이재민들을 대학 기숙사에 입주 시키는 '파격 조치'를 선보인 바 있다. 이 도지사는 "과거와 달리, 이제는 대한민국은 '선진국'이 됐다. 이재민 수용 방안도 이에 걸맞게 이뤄져야 한다"면서 "이재민 지원을 위해 필요한 부분들은 도비 예산을 투입할 것"이라고 했다.
호텔·리조트 외에 모듈러 주택 등 임시주거 시설에 머무는 이주민들을 위해선 특히, 정부 차원의 대대적 지원이 필요하다. 도는 이재민을 위한 모듈러 주택 1천500채 등을 마련할 계획인데, 1채당 필요한 임대비만 연간 2천400만원 수준이다. 도는 이재민들이 보금자리를 마련하기 전까지 1년 정도 이를 임대할 계획으로 필요한 재원만 연간 360억원 수준이다.

이와 관련해선, 이 도지사는 "이번에 경북도가 도입하는 모듈러 주택을 홍수와 산불이 많이 나는 지역에 나눠서 보관하다 재난 발생시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도 필요하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에게 이를 특별히 건의 했다"고 했다.
발생 빈도가 더욱 잦아지는 대형산불 피해 예방을 위한 시스템도 국가적 차원의 지원도 요구된다. 담수량 8천ℓ이상 초대형 진화헬기 도입, 군 수송기의 야간진화 작전 투입 등이 핵심 과제로 꼽힌다. 도는 산불 피해 복구 방안을 수립하면서 제정을 추진하는 특별법에 이 같은 부분들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 도지사는 "이번 산불을 계기로 재난 대응, 산불 진화, 이재민 수용, 재건·복구 등 전 분야를 새롭게 손 봐야 한다"면서 "특별법과 특례가 없으면 또 그냥 지나갈 수밖에 없다. 중앙정부와 정치권의 지원과 협조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순대 6개에 2만5000원?…제주 벚꽃 축제 '바가지' 논란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