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입원환자 10명 중 1명 평균 17.5일 대기…의정갈등 속 3.9일 늘어

2024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결과 공개

입원 대기기간 추이 그래픽. 연합뉴스 제공.
입원 대기기간 추이 그래픽.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계속된 의정갈등으로 인해 환자들이 입원을 위해 대기한 기간이 직전 해인 2023년보다 나흘 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 의뢰로 실시한 '2024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7월 22일∼9월 27일 1만4천681명을 대상으로 외래 및 입원 진료 이용 경험에 관해 설문(가구 방문 방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조사 결과 지난해 기다리지 않고 당일 입원하거나 환자가 원하는 날짜에 예약해서 입원한 경우는 90.2%다. 2023년 89.4%에서 0.8%포인트 올라 큰 변화가 없었다.

나머지는 원하는 날짜에 입원이 안 돼 기다린 경우였는데, 이때 대기 기간은 평균 17.5일이었다. 입원 대기 기간은 2023년 13.6일 대비 3.9일 길어지면서 의료서비스 경험조사가 시작된 2017년 이래 최장을 기록했다.

원하는 날에 입원하지 못한 환자 중에서는 10일 이상 기다린 경우가 69.2%로 가장 많았다.

외래 진료의 경우 99.6%가 당일 또는 원하는 날짜에 이용할 수 있었다. 원하는 외래 진료 날짜로부터 대기한 환자는 0.4%였고, 이들은 평균 11.4일을 기다렸다.

외래 진료 대기기간이 30일 이상으로 긴 경우는 19.8%였는데, 이들은 상급종합병원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위해 대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래 진료를 받기 위해서 접수 후 기다린 시간은 평균 16.7분, 진료 시간은 평균 7.0분이었다. 응답자의 61.1%는 실제 진료 시간이 1∼5분이라고 응답했다.

의료 서비스에 대해서는 대부분 긍정적인 답변이 나왔다. 전반적으로 의료 서비스에 만족했다는 응답은 입원 환자에서 95.4%, 외래 환자에서 92.3%였다.

입원 환자들에게 담당 의사의 예의 있는 응대, 알기 쉬운 설명, 배려, 환자 의견을 반영한 진료 서비스를 제공받았느냐고 질의하자 그렇다는 응답이 각각 95.9%, 96.2%, 92.4%, 90.1%로 모든 항목에서 90% 이상이었다.

외래 환자들도 의사로부터 예의 있는 응대를 받고, 알기 쉬운 설명을 들었다는 응답이 각각 93.4, 91.7%였다. 단 의사의 배려(88.1%), 환자 의견을 반영한 진료(88.2%), 충분한 대화(82.4%)는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의 비율이 낮았다.

복지부는 2017년부터 매년 의료서비스 경험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의정 갈등으로 전공의 사직 사태가 벌어진 이후인 7월부터 9월 사이 조사가 이뤄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