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해 전방위 압박을 받고 있다. 특히 국회에서는 김병주 MBK 회장의 사재출연 및 청문회 필요성도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사회민주당 등 국회 정무위원회 야3당 위원 일동은 2일 기자회견을 열어 홈플러스와 김병주 회장이 구체적인 변제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먼저 야3당은 지난 3월 18일 국회에서 열린 홈플러스 관련 긴급현안상임위에서 홈플러스 대주주인 김 회장의 사재출연 약속이 있었음에도 구체적인 사재출연 방안이 나오지 않는 점을 지적했다.
야3당은 "김 회장의 사재출연 약속이 있었고, 이후 홈플러스는 지난 3월 21일 유동화전단채를 포함한 상거래채권에 대한 전액변제 발표를 했다. 그럼에도 구체적인 후속계획을 제시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약속은 시간이 지날수록 '조건부 변제'라는 형식으로 퇴색해가고 있다"며 "MBK와 홈플러스가 여전히 책임 회피와 시간 끌기에 몰두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야3당은 "이번 사태는 단순한 회생절차나 계약 해석의 문제가 아니다. 유동화 구조의 불투명성과 기업의 책임 회피가 결합된 심각한 도덕적 해이"라며 "홈플러스를 인수해 막대한 배당 수익을 챙긴 MBK와 김 회장이 그 정점에 있다"고 했다.
이어 "국회는 더 이상 홈플러스의 책임 회피를 좌시할 수 없다"며 "홈플러스와 대주주 김 회장은 사재출연 계획을 포함한 구체적인 재원마련 방안을 4월 10일까지 제시하라. 그렇지 않으면 온 국민을 기만한 죄를 청문회를 통해 반드시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은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강등 이전에 MBK가 기업회생 신청을 준비한 가능성을 보고 조사 중이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담당 부원장은은 지난 1일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을 통해 "적어도 MBK가 말해온 날짜 이전에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인지하고도 유동화전단채 등을 발행했는지 등을 확정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함 부원장은 "홈플러스가 유동화전단채를 상거래채권으로 분류하고 즉시 전액 변제하는 것처럼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회생계획안에 반영하겠다는 취지였으며 이는 시장과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홈플러스는 스스로 약속한 전액 변제, 대주주 사채출연 등에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변제 규모 및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이해관계자와 시장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MBK는 국회의 김 회장 사재출연 촉구와 관련해 현재까지 별다른 입장이 없는 상황이다. 홈플러스는 금감원 조사에 대해 "신용등급 하락에 대한 인지 시점과 그에 따른 기업회생 신청 경위는 그동안 설명한 것과 같다"며 "금감원 조사와 검사 과정에서 성실히 답하고 소명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박지원 "탄핵 심판 5:3?…기각하면 제2의 이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