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음식·식료품 등 물가인상에 서민 호주머니 타격…"안 오른 게 없다"

소비자물가 석 달 연속 2%대 상승률…3월 2.1%
최상목 "공공요금 상반기 동결"

소비자물가가 석 달 연속 2%대 오름세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된 2일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에 햄과 베이컨이 진열돼 있다. 이번 조사에서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이를 통해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p) 끌어 올렸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은 김치, 커피(8.3%), 빵(6.3%), 햄 및 베이컨(6.0%) 등이 주도했다. 연합뉴스
소비자물가가 석 달 연속 2%대 오름세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된 2일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에 햄과 베이컨이 진열돼 있다. 이번 조사에서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이를 통해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p) 끌어 올렸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은 김치, 커피(8.3%), 빵(6.3%), 햄 및 베이컨(6.0%) 등이 주도했다. 연합뉴스

소비자물가가 3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보였다. 연초 국제 원료 가격 인상과 정치적 혼란 등으로 식품업체가 가격을 줄지어 인상하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29(2020년=100)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2.1%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12월 1%대를 유지했지만, 올해 1월 2.2%로 올라섰고 2월에도 2.0%를 이어갔다.

'밥상 물가'를 보여주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1.3% 내렸다. 2월(-1.4%)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했다. 다만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0.9% 상승했다. 특히 축산물(3.1%)과 수산물(4.9%)에서 오름폭이 컸다. 수산물은 2023년 8월(6.0%) 이후 1년7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을 보였다. 김(32.8%) 가격 상승세가 지속된 가운데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량이 줄어든 영향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가공식품은 상승률이 3.6%로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이를 통해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p) 끌어 올렸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은 김치(15.3%), 커피(8.3%), 빵(6.3%), 햄 및 베이컨(6.0%) 등이 주도했다. 이들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이다.

지난달 식품 가격이 뛰면서 외식 업체도 줄줄이 가격을 올렸고, 이는 고스란히 외식 물가에 반영됐다. 외식 물가는 2월(3%)에 이어 지난달에도 3% 상승했는데, 생선회(5.4%)와 치킨(5.3%) 등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외식 품목 가격이 크게 오르며 체감 물가상승률을 높였다.

연초 물가를 끌어올린 주범, 석유류는 1년 전보다 2.8% 올라 2월(6.3%)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2월은 석유류가 전체 물가를 0.24%p 끌어올렸지만, 지난달에는 0.11%p로 물가 상승 기여도가 줄었다.

지역으로 눈을 돌리면 대구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넉 달 평균 2%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최근 4개월간 대구의 전년동월대비 물가 상승률은 2.0→2.1→1.9→2.0%로 평균 2%를 유지한 것.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물가를 의미하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과 비교해 2.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식품이 3% 상승 물가 오름세를 견인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경제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전기·가스·철도 등 공공요금은 원가 절감과 자구 노력을 통해 인상 요인을 최대한 흡수해 상반기 중 동결하도록 하겠다"면서 "지방자치단체 공공요금 안정을 위해서도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적극 소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