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가 3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보였다. 연초 국제 원료 가격 인상과 정치적 혼란 등으로 식품업체가 가격을 줄지어 인상하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29(2020년=100)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2.1%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12월 1%대를 유지했지만, 올해 1월 2.2%로 올라섰고 2월에도 2.0%를 이어갔다.
'밥상 물가'를 보여주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1.3% 내렸다. 2월(-1.4%)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했다. 다만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0.9% 상승했다. 특히 축산물(3.1%)과 수산물(4.9%)에서 오름폭이 컸다. 수산물은 2023년 8월(6.0%) 이후 1년7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을 보였다. 김(32.8%) 가격 상승세가 지속된 가운데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량이 줄어든 영향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가공식품은 상승률이 3.6%로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이를 통해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p) 끌어 올렸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은 김치(15.3%), 커피(8.3%), 빵(6.3%), 햄 및 베이컨(6.0%) 등이 주도했다. 이들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이다.
지난달 식품 가격이 뛰면서 외식 업체도 줄줄이 가격을 올렸고, 이는 고스란히 외식 물가에 반영됐다. 외식 물가는 2월(3%)에 이어 지난달에도 3% 상승했는데, 생선회(5.4%)와 치킨(5.3%) 등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외식 품목 가격이 크게 오르며 체감 물가상승률을 높였다.
연초 물가를 끌어올린 주범, 석유류는 1년 전보다 2.8% 올라 2월(6.3%)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2월은 석유류가 전체 물가를 0.24%p 끌어올렸지만, 지난달에는 0.11%p로 물가 상승 기여도가 줄었다.
지역으로 눈을 돌리면 대구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넉 달 평균 2%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최근 4개월간 대구의 전년동월대비 물가 상승률은 2.0→2.1→1.9→2.0%로 평균 2%를 유지한 것.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물가를 의미하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과 비교해 2.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식품이 3% 상승 물가 오름세를 견인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경제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전기·가스·철도 등 공공요금은 원가 절감과 자구 노력을 통해 인상 요인을 최대한 흡수해 상반기 중 동결하도록 하겠다"면서 "지방자치단체 공공요금 안정을 위해서도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적극 소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박지원 "탄핵 심판 5:3?…기각하면 제2의 이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