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 대통령 파면 소식에 대통령실 직원들 '망연자실'

윤 대통령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 회한 담긴 메시지 내 놔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관계자들이 봉황기를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관계자들이 봉황기를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비서실은 4일 헌법재판소(헌재)가 재판관 전원일치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결정하자 침묵에 휩싸였다.

헌재의 탄핵 심판 선고가 늦어지면서 이날 선고 직 전까지만 해도 대통령실에서는 기각 내지 각하 결정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완연했다. 하지만 막상 만장일치로 탄핵이 인용되자 직원들은 망연자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대통령실 망연자실한 분위기

대통령실 관계자들은 이날 오전 일찌감치 출근해 사무실에서 긴장감 속에서 TV로 생중계되는 헌재 선고를 지켜봤다. 윤 전 대통령도 한남동 관저에서 파면 선고 과정을 지켜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날 오전 11시 22분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주문을 읽자 대통령실 곳곳에서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고 한다.

일부 참모들은 전날까지도 '5대 3 기각'이나 '4대 4' 기각 또는 각하까지 가능하다고 점쳤으나, 헌재가 '8대 0'으로 탄핵을 인용하자 대통령실의 충격은 배가됐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날 "당연히 각하나 기각을 기대한다"고 했으나, 이날 정반대의 결론이 나오자 "할 말이 없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일부 사무실에서는 헌재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고 일부 직원들은 서둘러 점심식사를 위해 외부로 나서는 모습도 보였다.

애초 대통령실은 내부적으로 윤 전 대통령의 복귀에 대비해 현안 업무보고와 국무회의 소집,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개최 등의 시나리오를 준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은 아직까지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대통령실 참모 대부분은 언론의 취재 전화에 답하지 않고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진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일괄 사의를 표명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와 함께 용산 대통령실 청사 정문 게양대에 걸렸던 봉황기는 이날 오전 11시40분께 깃대에서 내려왔다. 봉황기는 우리나라 국가수반의 상징으로 대통령 재임 기간 상시 게양된다.

윤 전 대통령은 탄핵이 인용된 만큼 곧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옮길 전망이다.

다만, 신변 정리와 사저 정비 등을 위해 며칠간 관저에 머물 가능성도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이 인용된 지 이틀 만에 청와대 관저를 떠나 삼성동 사저로 복귀했다.

◆ 윤 전 대통령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

헌재의 최종 결정을 받아 든 윤 전 대통령은 회한이 담긴 대국민 메시지를 내놨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법률대리인단을 통해 낸 메시지를 통해 "많이 부족한 저를 지지해 주시고 응원해 주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면서 "많이 부족한 저를 지지해 주시고 응원해 주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은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그동안 대한민국을 위해 일할 수 있어서 큰 영광이었다"며 "사랑하는 대한민국과 국민 여러분을 위해 늘 기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선 윤 전 대통령의 헌재의 결정을 겸허하게 수용하면서 국민통합을 바라는 심정을 담백하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또한 애초 윤 전 대통령은 기각결정을 확신하고 있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통령실을 중심으로 복귀를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고 윤 전 대통령 역시 사저로의 이전 준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는 후문이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선고 직후 정부서울청사 1층에 있는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를 방문해 치안·안전 관리 상황을 점검하고, 치안 질서 유지를 위한 긴급 지시를 내렸다.

한 권한대행은 행정안전부에 "주요 헌법기관, 정부 시설, 도심 인파 밀집 지역에서의 집회·시위 등으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국민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질서 유지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경찰청에는 "집회·시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불법 행위에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하게 대응해 예기치 못한 폭력 사태 등을 사전에 차단하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