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다음달 초 이재민 전원 입주 목표로 총력"

31일 오후 안동시 일직면 권정색 문학관에 산불 피해 이재민들이 쓸 모듈러 주택이 설치되고 있다. 김영진기자.
31일 오후 안동시 일직면 권정색 문학관에 산불 피해 이재민들이 쓸 모듈러 주택이 설치되고 있다. 김영진기자.

대형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경북 5개 시·군 주민들의 임시거처 마련에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6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와 각 시·군은 산불 피해를 입은 이재민을 위해 총 2천854채의 임시주택(모듈러 주택)을 마련할 계획이다. 마을처럼 모여 생활할 수 있는 단지형 2천749채, 개별 생활형 105채 등이 설치된다. 시·군별로는 안동 1천21채, 영덕 1천채, 청송 501채, 의성 239채, 영양 93채 등이 마련된다.

도는 이 가운데 1천404채에 대해선 오는 11일까지 제작 주문을 마칠 예정이다.

임시주택 설치를 위한 부지 확보 등에도 나서고 있다. 5개 시·군에 임시주택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부지 규모는 7만2천850㎡(약 2만2천37평) 정도다. 주불 진화 이후 9일째인 이날 기준으로 기반시설 조성을 마치고 공사에 들어간 곳은 의성 5곳, 영덕 11곳 등에 불과하다.

부지 선정과 기반 공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상황이다.

모듈러 주택을 설치하기 위해선 부지 평탄화 작업 등 기반 시설 조성이 요구된다. 게다가 콘트리트 타설·양생은 물론 거주를 위해 필요한 전기배선이나 상·하수도 설치, 천장·바닥재 마감 등 내부 인테리어 등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주민들이 마을 단위로 모여 거주하는 형태인 임시주택 설치 장소를 물색하는 과정에서도 상당한 시일이 걸리고 있다.

이런 이유로 모든 이재민이 임시주택에 입주하기까지는 최소 한 달 정도는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농경지 인근 등 이재민 개인 부지에 설치하기로 한 곳을 제외하고, 도는 모듈러 주택 설치를 위해 총 1천441채에 대한 기반시설 조성 공사를 준비하고 있다. 시·군별로는 안동 1천4곳, 의성 164곳, 청송 153곳, 영덕 79곳, 영양 11곳 등이다. 나머지 1천292채에 대해선 추가 부지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일부는 발주를 했고 곧 대부분 발주가 이뤄질 예정"이라며 "설치 장소에 대한 기반 공사가 끝나면 입주가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내부 인테리어 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늦어도 다음 달 초엔 모든 이재민이 임시 주택에 입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편, 지난 5일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기준, 이번 산불로 인한 이재민은 모두 3천502명(2천201가구)이다. 이 가운데 2천750명(1천683가구)이 경로당·마을회관, 호텔·모텔, 교육연수시설, 친척집 등 임시주거시설에 머물고 있다.

26일 영양군민회관에서는 영양 산불 피해로 긴급하게 대피한 이재민이 뜬 눈으로 밤을 지샌 뒤 휴식을 취하고 있다. 새벽시간까지 군민회관을 가득채웠던 이재민들은 날이 밝자마자 집을 확인하고자 대부분 자리를 떠났다. 김영진 기자
26일 영양군민회관에서는 영양 산불 피해로 긴급하게 대피한 이재민이 뜬 눈으로 밤을 지샌 뒤 휴식을 취하고 있다. 새벽시간까지 군민회관을 가득채웠던 이재민들은 날이 밝자마자 집을 확인하고자 대부분 자리를 떠났다. 김영진 기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