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내외 위기 속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을 뽑는 조기 대선의 막이 올랐다. 여야 정치권은 치열했던 대통령 탄핵심판 국면을 뒤로하고 쉴 틈도 없이 집권을 위한 대선 경쟁 격랑 속으로 빠져들었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8일쯤 조기 대선 날짜를 정할 것으로 보인다. 차기 대통령을 뽑는 대선일은 헌법이 정한 '60일 이내'에 맞춘 6월 3일이 유력하다.
이번 대선 경쟁에서 보수와 진보는 절대 우위가 없는 치열한 싸움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와 달리 보수 진영이 아직 분열하지 않고 있어 지난 대선에 이어 다시 한번 여야의 진검승부가 벌어진다는 예측이 나온다.
'이재명 원톱 체제'를 구축한 야당은 30% 중반대 박스권 지지율에 갇힌 한계를 극복하고 높은 비호감도를 넘어서야 '별의 순간'을 볼 수 있다. '원톱 없는 여당'은 10여 명이 대선 출마를 준비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전을 통한 경선 흥행을 노리고 있다.
여야 대선 후보들의 출마 선언은 이번 주부터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경선은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5월 초에는 마무리될 전망이다. 광역단체장들이 경선에 참여할 경우 선거일 30일 전에는 사퇴해야 한다는 것을 고려한 일정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9일쯤 대표직을 사퇴하고 본격적으로 경선 준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두관 전 의원 등 비명계 주자들의 출마도 잇따를 전망이다.
국민의힘에서도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한동훈 전 대표, 안철수·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유승민 전 의원 등의 출마가 거론된다. 현역 단체장인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유정복 인천시장 등의 경쟁 합류도 유력하다.
여야 모두 중도·부동층 잡기에 사활을 걸 전망이다. 최근 여러 여론조사에서 아직 대선 후보를 정하지 못한 국민은 30% 중반대로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 환경 변화, 주가 하락 및 환율 상승, 영남권 초대형 산불 피해 등은 민생·경제 현안에 민감한 중도층의 마음을 얼어붙게 하고 있다.
여당은 이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반(反)이재명을 전면에 내세우는 것은 물론 대통령 탄핵 등 국가적 혼란에 야당 책임이 상당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헌정 질서가 붕괴한 상황에서 국가 정상화를 자신들이 이끌겠다는 각오를 내세우고 있다. '잘사니즘' 등 각종 민생경제 정책 비전도 내세워 중도 공략에 나설 전망이다.
추가경정예산 편성, 연금 구조개혁, 의정 갈등 해결, 반도체법 등 현안 해결을 위한 여야의 공약 경쟁이 벌어질 공산도 크다.
엄기홍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보수가 배출한 대통령이 탄핵당한 상황에서 치러지는 이번 대선에서 일찌감치 대세론을 형성한 이재명 대표가 유리한 건 사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다만 여당이 대통령 탄핵 국면에 진심으로 사과하고 중도 확장성을 갖춘 후보를 찾아 내세운다면 이 대표와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박빙 승부를 벌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언제나 국민과 함께…더 좋은 대한민국 만들자"
홍준표, 대선 출마 선언 "치유의 시간 하루면 족해, 30년 정치인생 마지막 사명으로 철저히 준비"
문형배 "탄핵심판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한 언론인·경찰에 감사"
한덕수, '중도보수 통합' 대안 주자 부상…"이재명과 맞설 유일한 카드" 주목
[단독] '애국가 아이돌' 이철우 경북도지사, '장미대선' 나간다…출마 무게두고 고민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