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토부, 한국 스마트시티 기술 해외 실증 착수…6개 도시 지원

23억 원 규모 'K-City 네트워크' 사업 본격화

'25년 K-city 네트워크 해외실증형 선정사업. 2025.4.7. 국토교통부 제공

'한국형 스마트시티'가 이탈리아 밀라노, 영국 버밍엄 등 교통혼잡이나 쓰레기 수거, 안전 문제 등에 직면한 외국 도시에 지원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7일 "'K-City 네트워크 2025 해외실증형 사업' 대상지로 5개국 6개 도시를 선정하고 총 23억 원 규모의 실증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도시는 태국 콘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이탈리아 밀라노·베로나, 영국 버밍엄, 페루 리마 등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K-City 네트워크는 스마트시티 분야 혁신기술을 외국 도시 여건에 맞춰 실증함으로써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정부 간 협력 강화를 동시에 도모하는 국제협력형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사업은 각 도시의 현안에 맞춘 맞춤형 솔루션 적용에 초점을 맞췄다. 교통혼잡, 환경오염, 시민안전 등 복합 문제 해결을 위해 인공지능(AI), 디지털트윈, 사물인터넷(IoT) 등 한국 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투입한다.

먼저 태국 콘캔에서는 피아스페이스㈜가 도심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 영상을 실시간 분석하는 AI 기반 감시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범죄나 재난 등 이상상황을 자동 감지해 경찰이 신속 대응하도록 돕는다. 심각한 도심 교통 혼잡을 겪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는 디토닉㈜이 AI 기반 스마트 주차 시스템을 실증해 도심 교통혼잡 해소를 시도한다.

이탈리아 밀라노에서는 이큐브랩이 급증하는 도시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도심 곳곳에 지능형 사물인터넷(AloT) 적재량 감지 센서와 압축기능이 있는 쓰레기통을 설치하고, 통합모니터링 플랫폼을 통해 효율적으로 수거하는 스마트 폐기물 관리시스템을 실증한다. 밀라노에서 실증한 스마트 폐기물 관리시스템을 유럽 진출의 교두보로 삼는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베로나에는 AI 교통흐름 분석 시스템을 도입한다. 영국 버밍엄에서는 교통약자를 위한 AR 기반 보행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페루 리마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교통안전 솔루션을 실증한다.

국토부는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한국형 스마트시티 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과 수출 연계 효과를 동시에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실증 결과는 향후 정부 간 협력과 기업의 외국 사업 확대에 활용할 예정이다.

윤영중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각국 도시가 복합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상황에서 한국 스마트기술이 해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라며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