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축전염병, 신종 마약, 해상 안전 등 국민 일상을 위협하는 재난·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생활현장 밀착형 연구개발(R&D) 사업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는 7일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사업 추진을 위해 올해 상반기 신규 R&D 과제 5건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는 재난·안전 문제의 해결방안을 과학기술에서 찾아 현장에 적용하고 재발을 방지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신규과제는 ▷가축전염병 방역을 위한 내동성·저독성 소독제 첨가제 개발 ▷합성생물학 기반 신종 마약류 간편 검출 시스템 개발 ▷착용성 향상을 위한 소형·경량형 팽창식 구명조끼 개발 ▷GPS 전파혼신 대응을 위한 선박용 보급형 eLoran/GNSS 통합수신기 개발 ▷신속 수난구조 활동을 위한 구조장비 경량화 및 소형화 기술개발 등 5개다.
이 가운데 불법 유통과 오남용이 증가하고 있는 신종 마약(벤조디아제핀 및 펜사이클리딘 계열 등) 검출 시스템 과제는 벤조디아제핀, 펜사이클리딘 계열 등 신종 마약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마약 판별 키트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단속과 수사 효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얼지 않는 소독제 첨가제 개발은 국내 특성에 맞는 방역을 위해 진행된다. 한국에서는 주로 겨울철에 조류 인플루엔자(AI) 등 가축 질병이 발생하지만, 방역을 위한 소독제는 영하의 날씨에 얼어 효과가 미미했다. 이에 겨울에도 얼지 않는 소독제를 개발해 농가와 방역 현장의 어려움에 도움을 준다는 계획이다.
해상에서 위치정보시스템(GPS) 위성 전파 혼신을 대비해 지상 전파로 선박 위치를 확인하는 통합수신기 개발과 수난사고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공기통을 소형화·경량화하는 기술도 개발된다. 여기에 어선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 주요 원인인 '구명조끼 미착용' 개선을 위해 기존 팽창형 구명조끼를 소형·경량화하고 주요 핵심부품을 국산화해 저렴하게 보급하고 착용률을 높일 방침이다.
이들 과제에는 과기정통부와 행안부가 공동으로 2년간 9억원 내외를 지원한다. 이번 과제 추진을 위한 연구기관 선정 공모는 내달 8일까지 진행되며 과기정통부와 행안부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올해는 총 10개 과제를 추진하며 산불대응 등 예기치 못한 재난을 대비해 추가 수요도 조사할 예정이라고 정부는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보수 지지율 1위' 김문수 대선 출마…오늘 국무회의 직후 장관직 사퇴 [영상]
김부선 "尹 참 안됐다…집안에 여자가 잘 들어와야 하는데"
이재명 측 "대선 유세로 재판 빼달라"…재판부, 5월 2차례 일정 추가
김문수 "깨끗한 제가 이재명 이긴다"…대선 출마 공식선언 [영상]
황교안 대선 출마 예고 "국민의힘 탈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