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학 등록금·유치원비 다 올랐다…교육물가 금융위기 후 최대 ↑

지난 3월 교육 물가 1년 전보다 2.9% 상승
2009년 2월 4.8% 이후 16년 만에 최대 폭

가계 지출의 주요 항목 중 하나인 교육 물가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은 이날 서울 강남구 한 유치원 앞을 지나가는 학부모와 어린이. 연합뉴스
가계 지출의 주요 항목 중 하나인 교육 물가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은 이날 서울 강남구 한 유치원 앞을 지나가는 학부모와 어린이. 연합뉴스

가계 지출의 주요 항목 중 하나인 교육 물가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월 교육 물가(지출목적별 분류)는 1년 전보다 2.9% 상승했다. 금융위기 시절인 2009년 2월 4.8% 이후 16년 1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교육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사립대를 중심으로 한 등록금 인상이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2월 20일 기준 4년제 사립대 151곳 중 79.5%인 120곳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했다. 국공립대 39곳 중 28.2%인 11곳도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

대학교 등록금이 오르자 다른 교육 물가도 덩달아 올랐다.

사립대학원납입금은 3.4%, 국공립대학원납입금은 2.3% 올랐다. 두 항목 모두 2009년 2월(사립대 6.5%·국공립대 7.8%) 이후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3월 전문대학납입금도 3.9% 상승했다. 역시 2009년 2월 7.6%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교육 물가 추이. 연합뉴스
교육 물가 추이. 연합뉴스

유치원비 상승률도 4.3%로 9년 만에 가장 크게 뛰었다. 유치원납입금 물가는 2020년 5월부터 58개월 연속 전년 동월대비 하락했지만, 지난달 상승 전환했다.

유치원납입금은 지역별로 학비 지원 정책 차이 등에 따른 편차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전남(24.3%), 강원(15.7%), 부산(14.7%), 경북(12.1%), 서울(5.0%) 등에서 크게 상승했다.

반면 울산시교육청의 사립유치원 무상 정책 영향으로 울산 유치원납입금 물가는 작년대비 74.3%나 하락했다. 충북(-5.7%), 광주(-0.4%)에서도 내렸고 세종·충남·전북은 상승률이 0%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