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과수 묘목 공급 부족" 산불 피해 영향, 경산 묘목시장에도 여파

묘목 중심지 경산까지 흔든 산불의 나비효과

경산지역에서 묘목 농사를 짓는 청년농부 이광열 씨가 자두묘목을 출하하고자 차에 싣고 있다. 김영진 기자
경산지역에서 묘목 농사를 짓는 청년농부 이광열 씨가 자두묘목을 출하하고자 차에 싣고 있다. 김영진 기자

"가만히 있으면 속이 터져요. 나무 하나라도 더 심어야죠."

경북 청송군 진보면의 한 농민이 불탄 삶터를 뒤로하고 경산의 한 묘목농장을 찾았다. 이번 산불로 집이 전소되고 과수원도 모두 잃은 그는 전기가 끊긴 마을회관에서 임시로 숙식을 해결하고 있다. 그럼에도 절박한 표정으로 묘목을 고르며 남긴 말엔 흔들리지 않는 의지가 담겨 있었다.

이 사연을 전한 이는 경북 경산에서 묘목 농장을 운영하는 청년농부 이광열(38) 씨다.

이 씨는 "그분은 묘목을 바라보며 조용히 '그래도 심어야죠'라고 말씀하셨다"며 "마치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오늘 사과나무 한 그루를 심겠다'는 심정처럼 느껴졌다"고 말했다.

경산은 경북 묘목 시장의 중심축이다. 특히 유실수인 사과묘목을 공급하는 거점 지역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이번 산불로 청송, 안동, 의성, 영양 등 경북 북동부 지역 과수 농가들이 대규모 피해를 입으면서 경산의 묘목 수급에도 불안이 감돌고 있다.

이 씨는 최근 또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산불 발생 일주일 전, 묘목을 사간 고객이었다.

그는 "안동시 길안면에서 사과 과원을 하시던 분이었는데 전화를 받자마자 '사장님, 과원이 다 탔어요. 혹시 부사묘목 남은 거 없나요'라고 하셨다"며 너무 절박하셨지만 제가 해드릴 수 있는 게 없어서 더 죄송했다"고 했다.

이번 산불로 이미 후지 계통의 사과묘목은 조기에 동이 났고, 수요가 급증하면서 내년에도 품귀현상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출하량 감소에 따른 사과 가격 상승은 묘목 값까지 영향을 줄 곳으로 전망된다.

이 씨는 "돈을 벌기 위해 이 일을 시작했지만, 이렇게 부정적인 이유로 수익이 늘어나는 건 전혀 반갑지 않다"고 토로했다.

그는 지금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 하나뿐이라고 말한다.

이 씨는 "지금 제가 산불 피해 농가를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합격묘를 생산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라며 "묘목농가는 과수농가가 있어야 존재할 수 있고, 과수농가가 무너지면 결국 과수시장 전체가 흔들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불의 흔적은 단순한 재해를 넘어 경북 농업 전반에 깊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경산처럼 피해지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까지도 그 여파가 퍼지는 셈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