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관세 정책을 통한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시도하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경영난을 겪고 있는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은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TSMC와 합작기업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 백악관과 상무부가 장기간 이어진 인텔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TSMC에 압박을 가한 결과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앞서 로이터 통신은 지난달 TSMC가 엔비디아와 AMD, 브로드컴 등에 인텔 공장을 운영할 합작 회사에 투자를 제안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다음날인 지난 4일(현지시간) "반도체(관세)가 곧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 정책을 통해 자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을 유치하고 공급망을 공고히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다만 관세 부과로 인해 반도체 생산 시설 및 공급망이 미국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분석도 나온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자국 보호를 명분으로 하나, 반도체 공급망 구조와 생산 거점을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그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은 장기간에 걸쳐 미국 외 지역, 특히 아시아를 중심으로 구축돼 왔으며, 미국 내 생산은 경제성 측면에서 기업들에 현실적인 선택지가 되기 어렵다"며 "기업은 관세 부담을 가격에 반영하거나 마진 축소를 감내해야 하는 이중고에 직면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애플을 비롯한 일부 미국 기업이 트럼프 1기 때와 마찬가지로 다시 예외 대상으로 지정될 경우,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경쟁사들은 가격 전가가 불가능해져 추가적인 역차별을 겪을 수 있다. 미 행정부가 중국과의 AI(인공지능) 군비 경쟁 국면에서 반도체 관세 부과가 자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관세 정책을 완화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해 채 연구원은 "AI 서버의 경우 반도체를 포함한 대부분의 부품이 아시아에서 조달되고 개별 부품에 대한 품목관세 또는 상호관세에 더해 완제품인 AI 서버 자체에도 상호관세가 부과된다"며 "서버를 구매하는 기업 입장에서 AI 서버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크게 확대된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측 "대선 유세로 재판 빼달라"…재판부, 5월 2차례 일정 추가
홍준표 "임기 못 마치고 떠나 시민께 송구…대선 승리해 금의환향하겠다"
중앙선관위원장 "부정선거 발생할 수 없다…결과에 승복해달라"
홍준표, 시장직 사임 "尹 억울함 풀 것, 임기 못마쳐 죄송"
김문수 "깨끗한 제가 이재명 이긴다"…대선 출마 공식선언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