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동부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로 인해 청송에서는 주민들이 소화전 사용법을 몰라 건물이 전소되는 일도 있었던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이로 인해 주민들은 마을 단위의 실질적인 화재 대응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제의 사례는 청송군 신촌리 한 자동차수리업소 일원에서 발생했다. 당시 산불이 민가로 확산되면서 인근에 설치된 소화전이 있었지만 마을 주민들은 정확한 사용법을 알지 못해 일반 수도 호스로만 물을 뿌리며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수도로 잡히지 않던 산불이 자동차수리업소로도 번졌고, 내부에 있던 가스통과 기름통 등이 연쇄적으로 폭발하면서 불길이 걷잡을 수 없이 커져 결국 해당 업소는 전소됐다. 이 불은 업소 인근 주택가로도 번질 위험이 커지면서 주민들은 공포에 떨어야만 했다.
이번 화재에 대해 주민들은 "소화전만 사용할 수 있었다면 초기 진화가 가능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화재 당시 소화전 사용법 등을 숙지한 의용소방대원들은 대형 산불 진압을 위해 다른 지역 방화선 구축과 진화 작업에 투입돼 있었던 상황이었고, 정작 마을에는 소화전을 사용할 수 있는 인력이 남아 있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주민들은 눈앞에서 불길을 마주했지만 마땅히 대응할 수단이 없어 속수무책이었던 셈이다.
이 때문에 주민들 사이에서는 "대형 산불처럼 소방력이 부족한 상황에 대응하려면 마을 주민들에게 소화전 사용법을 포함한 화재 대응 교육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예기치 못한 화재 상황에서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서 체계적인 교육과 반복 훈련이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또 다른 주민은 "비슷한 화재가 청송뿐만 아니라 고령이 많은 인근 지역에서 반복됐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지자체와 소방 당국이 협력해 도내 전역에서 마을 단위 화재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교육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