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학기 전국 초·중·고에서 특수학급이 800개 이상 신설돼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과밀학급이 작년보다 1천 개 이상 줄었다.
8일 교육부가 발표한 '2025학년도 1학기 전국 특수학교 및 일반 학교 특수학급의 과밀학급 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1일 기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특수학교 및 유·초·중·고 특수학급 중 과밀학급은 총 742개다.
지난해 1천882개에서 1천140개 감소했다. 특수학급에서 과밀학급이 차지하는 비중도 작년 10.1%에서 올해 3.8%로 6.3%포인트(p) 줄었다.
과밀학급은 학급당 학생 수가 유치원 4명 초·중등학교 6명, 고등학교 7명을 초과하는 학급을 뜻한다.
지역별로 보면 인천시교육청의 과밀학급 비중이 작년 17.3%에서 올해 3.8%, 경기도교육청은 14.1%에서 2.7%로 줄었다. 제주와 울산, 세종시교육청의 과밀학급 비중은 작년 각각 27.2%, 0.2%, 7.7%였는데 올해는 모두 해소됐다. 지역에서도 대구 2.4%→0.5%, 경북 7.5%→3.9%로 과밀학급 비중이 줄었다.
전남만 6.0%에서 6.3%로 소폭 올랐다.
최근 특수교육대상자 증가로 과밀학급이 늘면서 특수교육 여건 악화 우려가 커지자 교육부는 시도 교육청과 협력해 특수학교와 일반 학교의 잉여 공간을 확보, 올해 1학기 특수학급을 804개 신설했다.
또 기간제 교원 임용을 지원해 특수교사 부족 문제도 해소할 수 있도록 했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늘어나는 특수교육 수요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역별 과밀학급 비율 등 특수교육 여건의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도 교육청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특수교육대상자 수는 ▷2022년 10만3천695명 ▷2023년 10만9천703명 ▷2024년 11만5천610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