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당 행정수도 이전 다시 추진…충청권 표심 공략 전략?

이재명 대표 '민주당 내부 결속' 및 '항구적 충청권 지지 확보' 포석 분석

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바라본 청와대 모습. 연합뉴스
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바라본 청와대 모습.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대통령 집무실을 세종특별시로 이전하는 안이 나와 향후 이행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조기 대선 국면을 맞은 민주당이 그동안 각종 전국 단위 선거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 온 '충청권 표심'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친명계' 핵심인 김민석 최고위원은 8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용산에 대통령실이 있어야 한다는 데 대부분 동의 안 할 것"이라며 집권 시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기정사실화 했다.

이와 관련 ▷집권 초반 용산 대통령실 또는 정부서울청사 대통령 집무실 사용 ▷시설점검 후 청와대 다시 사용 ▷임기 중 세종 대통령실 준비 및 이전 완료 등 전망이 나온다. 다만 김 위원은 "최근까지 당의 정책적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검토한 적은 없다"고 세종 이전설에 선을 그었다.

'행정수도 세종 이전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월 말 비공개 확대간부회의에서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 및 국회세종의사당 건립 논의와 관련해 진행 상황을 정리해 달라는 취지로 한 발언이 알려지면서 주목받았다.

실제 복기왕·강준현 등 민주당 소속 충청권 국회의원들은 22년 만의 행정수도 이전 재추진을 골자로 하는 '신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신행정수도법)안'을 이르면 이달 중순 발의할 예정이다. 이 대표 발언의 후속 조치라는 해석이다.

다만, 행정수도 이전 법안은 노무현 정부 당시인 2004년 헌법재판소가 '관습헌법=수도는 서울'이라는 이유로 위헌결정을 내린 바 있다. 민주당은 일단 법안을 발의한 뒤 헌법소원이 제기되면 다시 헌재 판단을 받는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한 중진은 "위헌으로 결정난 행정수도 이전 주장을 대통령선거를 코앞에 두고 꺼내는 자체가 정략적"이라고 꼬집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