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동네가 더 오염됐다?"
포스텍(포항공대) 환경공학부 이형주 교수, 통합과정 김나래 씨 연구팀이 인공위성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전역의 이산화질소(NO2) 농도를 분석한 결과 부유한 지역일수록 농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수치로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인 '환경과학&기술'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이산화질소는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주로 배출되는데, 다른 대기오염물질보다 반응성이 크고 대기 중 체류 시간이 짧아 지역별로 농도 차이가 크다.
하지만 지상 측정소의 수가 제한적이고 고르게 분포돼 있지 않아 그간 수㎞ 단위의 넓은 지역 평균값만 추정해 왔다.
이에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트로포미 위성에서 수집한 이산화질소 데이터와 교통 관련 토지이용 정보를 결합해 2018~2022년 우리나라 전역의 이산화질소 농도를 500m 단위로 정밀하게 추정하는데 성공했다.
이 고해상도 데이터를 활용해 전국 17개 시도의 지상 측정망이 실제 인구 노출 수준을 얼마나 정확히 반영하는지 확인한 결과, 지역에 따라 측정소 데이터가 실제 이산화질소 노출 수준을 최대 11~61%까지 적거나 많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산화질소 농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선 인구 대비 측정소 수를 늘일 게 아니라 위치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결과로 인식된다.
또 연구팀은 경제적 수준에 따른 이산화질소 노출 차이도 분석했다.
철강이나 석유 등 산업단지 등을 끼고 발전한 지역이나 주택단지 등이 밀집돼 있는 경우에서 높은 이산화질소 농도가 나타났다.
포스텍 이형주 교수는 "이산화질소뿐 아니라 미세먼지, 오존 등 다양한 대기오염물질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대기오염 노출과 건강 영향 사이의 관계를 더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선 지역의 의료 인프라, 근린 환경, 건강 행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종합적인 연구도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