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천시에 머무는 체류인구가 등록인구의 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체류인구 10명 중 5명 이상이 지역에 일자리를 두고 출퇴근 하는 통근인구로 추정되면서 지역자금 역외유출과 지역경제 돈맥경화의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9일 영천시가 통계청 및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2024년 3분기 생활인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9월 기준 영천시 생활인구는 50만5천941명에 달했다. 이는 2023년 6월 생활인구 34만7천500명 대비 15만8천명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 중 체류인구는 40만3천301명, 등록인구(주민등록인구+등록 외국인)는 10만2천640명으로 4배 정도 격차가 났다.
특히 체류인구가 많이 유입된 시·군·구를 보면 경북지역은 ▷경산시(10.2%) ▷포항시(6.2%) ▷경주시(3.7%) 등에서, 대구지역은 ▷동구(8.5%) ▷수성구(7.6%) ▷달서구(6.6%) 등으로 영천시와 인접한 도시 거주자로 파악됐다. 체류인구 10명 중 5명 정도가 지역에 일자리를 둔 직장인으로 여겨지는 대목이다.
이들이 지역에 머문 체류시간은 11.4시간이고 카드 사용 비중도 40.4%에 그치며 등록인구 카드 사용 비중 59.6% 보다 20% 포인트 정도 낮다는 수치가 이를 뒷받침한다. 업종별 카드 사용 역시 운송교통 비중이 33.2%로 가장 높았다.
때문에 이들 직장인이 지역기업 등에서 급여와 수당을 받고 소비생활 등은 거주지 도시에서 이뤄지는 지역자금 역외유출의 악순환과 지역경제에 돈이 제대로 돌지 않는 돈맥경화 현상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며 정주여건 개선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영천시는 지난해 6월말 인구 10만선이 붕괴되는 등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위기 도시로 분류된 상태다.
이에 영천시는 통근인구의 지역내 거주 및 정착을 위해 일자리 창출을 비롯해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발굴과 실현에 적극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를 포함해 5개 지역에서 363㎥ 규모의 산업단지 조성, 내년 3월 개교 예정인 군인자녀 모집형 자율형 공립고(제2한민고) 등이 대표적 사례다.
영천시 관계자는 "양질의 일자리와 모자람 없는 정주여건을 만들어 지역민들에게는 만족스런 도시, 방문객에게는 다시 오고 싶은 영천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생활인구= 이동성과 활동성이 증가하는 생활유형 반영을 위한 새로운 인구개념이다. 지역에 거주하는 등록인구와 월 1회‧하루 3시간 이상 머문 체류인구를 포함해 산정된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권성동 "한 대행, 경선 출마 안 해…출마설 도움 안 돼"
국회 운영위, 이완규·함상훈 '지명 철회' 촉구 결의안 가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