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국방 "중국 위협으로부터 파나마운하 지킬 것"

中, 美에 "파나마운하에 대한 협박 중단" 촉구
파나마 검찰도 홍콩계 회사 수사 개시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오른쪽)이 8일(현지시간) 파나마운하를 방문해 운하 관리자 리카우르테 바스케스와 대화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오른쪽)이 8일(현지시간) 파나마운하를 방문해 운하 관리자 리카우르테 바스케스와 대화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8일(현지시간) 중미 파나마를 방문해 "파나마운하가 중국의 영향력 확대로 안보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파나마운하를 되찾아 안정하게 지키겠다"고 밝혔다.

AP에 따르면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호세 라울 물리노 대통령을 예방한 뒤 미국 자금 지원으로 건설된 파나마운하 인근 부두를 찾아 이같이 말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 자리에서 "중국이 기업 간 상업적 관계를 '스파이 활동'에 이용하는 방식 등으로 운하를 '무기화'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운하를 모든 국가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당국은 즉시 반발했다. AFP에 따르면 주파나마 중국대사관은 이날 반박 성명을 내고 "중국은 파나마운하의 관리나 운영에 참여한 적이 없으며, 이 운하와 관련된 사안에 개입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또 "(헤그세스 장관의 발언은) 전혀 책임감 없고 근거도 없는 것"이라며 "미국이 '중국 위협론'에 기반한 선정주의적 방식으로 중국과 파나마 간 협력을 훼손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은 항상 파나마운하와 관련한 파나마의 통치권을 존중해왔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파나마운하 건설(1914년 완공) 주도 후 85년 넘게 파나마운하를 관리하다가 1977년 협약 등을 거쳐 1999년에 파나마 정부에 운영권을 넘겼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중국의 영향력 행사 등을 이유로 파나마운하 환수 필요성을 여러 차례 밝히면서, "무력 사용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언급하기도 했다.

미국의 압박 속에 홍콩계 기업 CK 허치슨 홀딩스는 파나마 운하 2개 항구 운영 사업 부문을 미국계 자산운용회사 블랙록 컨소시엄에 넘기로 하고 관련 거래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파나마 검찰도 이날 CK 허치슨 측 파나마운하 운영 자회사인 파나마 포트 컴퍼니에 대한 수사 개시를 발표했다. 이는 파나마 감사 당국의 감사결과에 따른 조치다. 파나마 감사원은 "파나마 포트 컴퍼니가 최소 3억 달러(4천400억원 상당)를 더 지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