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SK실트론 매각설 확산…노조·구미 지역 사회 강력 반발

"노동자 동의 없는 매각은 불가"…SK실트론 노조 비상사태 선포
구미 지역 "투자 차질·고용 불안 우려" 목소리 확산
SK㈜ "리밸런싱 검토 중…구체적 확정 사항 없어"

구미국가산단에 있는 SK실트론 구미1공장. 조규덕기자
구미국가산단에 있는 SK실트론 구미1공장. 조규덕기자

SK그룹의 반도체 웨이퍼 제조사 SK실트론 매각설(매일신문 4월9일 보도)이 확산되면서 노동조합과 구미 지역 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SK실트론 노조는 10일 입장문을 통해 "SK㈜가 노동자와 단 한 차례 협의도 없이 생존권과 미래가 걸린 매각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강력히 반발했다.

노조는 "이번 매각은 SK㈜ 최대주주가 단기 수익과 투자 회수를 목적으로 결정한 냉정한 계산일 뿐"이라며 "매각 책임은 전적으로 SK㈜ 최대주주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노조는 "노동자 동의 없는 매각은 절대 불가"라며 "생존권과 일자리, 지역사회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히고, 이날부로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최무환 SK실트론 노조위원장은 "사모펀드로 넘어가게 되면 제일 먼저 진행될 게 인력 감축과 비용 절감일 것"이라며 "반도체 특화단지, 대통령 방문까지 했던 핵심 기업인데 이런 식으로 무책임하게 매각을 추진하는 건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조만간 확대 간부회의를 열어 본격적인 투쟁 방향과 대응 전략을 결정할 계획이다. 향후 고용 안정과 인력 감축 저지, 일방적 매각 반대 등을 핵심 쟁점으로 내세워 총력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구미 지역 사회 역시 이번 매각설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특히 SK실트론이 2022년 1조4천950억원을 투자한 데 이어 2026년까지 2조2천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예고한 상태라 매각이 현실화될 경우 이들 투자 계획마저 불투명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구미시 관계자는 "SK실트론의 투자는 구미 경제에 매우 중요하다"며 "회사가 계획한 대규모 투자가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구미상공회의소 관계자도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고 하지만, 만약 매각이 현실화된다면 지역 경제에 미칠 영향이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는 사모펀드 한앤컴퍼니와 SK실트론 경영권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대상은 SK㈜가 보유한 지분 51%와 TRS(총수익스왑) 계약으로 확보한 19.6% 등 총 70.6%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가진 29.4%는 제외됐다.

시장에선 SK실트론 몸값이 5조원 안팎으로 거론된다. 매각이 성사되면 SK㈜는 3조원가량의 현금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SK㈜ 측은 "리밸런싱 차원에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며, 구체적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