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경북 북동부 5개 시군을 덮친 산불 피해 신고액이 1조4천3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에 따른 복구비는 2조7천868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10일 경북도에 따르면 산불 피해를 입은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등 5개 시·군과 지난달 31일부터 피해 조사를 진행했다.
현재까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된 피해 신고액은 9일 오전 8시30분 기준 1조4천3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사유시설이 3천865억원, 공공시설이 1조435억원이다. 이에 따른 복구비 추산액은 2조7868억원이다. 신고 피해액과 복구비의 70% 이상이 산림에서 발생했다는 게 경북도의 설명이다.
사유 시설에 대한 조사와 신고 기간은 이달 15일까지다. 피해지역 사정을 고려해 1주일 연장했다. 신고 기간이 아직 남은 만큼 잠정 피해액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각 지자체에 접수된 피해 신고 금액을 토대로 중앙부처가 합동조사를 벌여 최종 피해액과 복구비를 확정한다. 중앙합동조사단은 오는 15일까지 조사를 할 방침이다. 행정안전부를 주축으로 11개 부처와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100여명, 경북도 22개 부서 80여명이 피해지역 현장 조사, 피해액과 복구액 입력 내용 등을 확인한다.
경북도는 이번 산불로 송이 주산지를 비롯해 산림작물 분야에도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만큼 임업인의 사유 시설 피해 현황 파악에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산불 피해 5개 시군의 경우 전국 송이 생산량의 43%를 차지하는 주산지다. 하지만 산불로 타버린 송이 산에서 다시 송이를 생산하기까지는 적어도 40~50년이 걸리는 탓에 송이 임가들의 시름이 깊은 상황이다.
게다가 송이버섯의 경우 재배작물이 아닌 자연발생에 의한 채취 임산물로 정부 지원 복구 대상에서는 제외돼 있어 생계가 막막한 송이 채취 임업인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송이 등 채취 임산물에 대한 피해조사를 동시에 진행하면서, 산불 피해 임지에 송이를 대체할 단기소득 임산물을 조성할 수 있는 사업을 이번 정부 추경 지원사업에 적극 반영되도록 건의하고 있다.
도는 오는 15일까지 임업인의 피해 현황을 조사하고 중앙합동 조사 등을 거쳐 복구계획이 확정되면 재배시설 복구와 호두·밤·대추 등 산림작물의 소실로 인한 다른 작물 파종,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 등 피해 정도에 따라 맞춤형 복구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업 재해복구자금 융자(연 1.5% 고정금리), 기존 대출 상환 연기, 이자 감면 등도 지원하기로 했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산림을 복원해 임업인이 산을 가꾸며 소득작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