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 조치에 나선 지 13시간여 만에 대(對)중국 관세를 125% 격상했다. 이외 국가들에 대해선 국가별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했다. 다만, 기본 관세 10%는 유지된다.
미국은 관세 부과 조치에 강대강 입장을 고수 중인 중국에 대한 관세를 21%포인트(p) 더 높여 104%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에 반해 대미국 관세·비관세 장벽 해소에 협상하고자 나선 한국 등 70여개국에 대해선 3달가량 지난 뒤 예고했던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로써 한국산 수출품에 대한 상호관세가 90일간은 기존 25%에서 10% 낮아지게 된다. 다만, 철강, 자동차 등에 대한 품목별 25% 관세는 그대로 적용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등을 이유로 미국의 모든 무역상대국에 10% 이상의 상호관세 시행 방침을 내렸다.
이에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가 5일부터 시행됐다. 지난 9일 0시 1분부터는 국가별 상호관세가 부과돼 57개 무역파트너(한국·일본·중국 등 56개국+27개 회원국 가진 유럽연합)에 대해 국가별 상호관세가 별도로 부과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 13시간여 만에 중국을 제외하고 다른 국가에 대해선 국가별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전격적으로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미국 상호관세 조치에 맞대응하고 나선 중국을 향해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희망컨대 머지않은 미래의 어느 시점에 중국이 미국과 다른 나라를 갈취하던 날들은 더는 지속 가능하지 않고 용납되지도 않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을 제외한 75개국 이상이 미국과의 협상에 나섰고 보복 조치도 하지 않았다며 이들 국가에 대해선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 및 상당히 낮춘, 10%의 상호관세를 승인했다"며 "이 또한 즉각 시행된다"고 전했다.
이후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될 것이며 이는 중국이 경솔하게(imprudently) 보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라면서 "누구든 미국을 때릴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더 세게 맞받아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 이외 타 국가에 대해 "우리는 맞춤형 협상을 계속할 것이며 그 기간에 90일간의 (국가별 상호관세) 유예가 있을 것"이라면서 "(이들 국가에 대한) 관세는 보편적인 10%로 낮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