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對)중국 관세 폭탄을 투하하자, 중국은 대미 추가 관세 84%로 맞대응에 나서는 등 경제 대국을 중심으로 무역 전쟁이 격화하고 있다.
중국이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강하게 나오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이외 국가에 대해선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면서 중국 관세는 125%로 더 올려 미중 무역 전쟁이 '치킨 게임'으로 격화하고 있다.
이날 낮 12시 1분(현지시간)을 기해 중국 정부는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84% 추가 관세 부과에 나섰다. 이 시간 이전에 선적한 화물은 다음 달 14일 0시 이전에 수입되면 추가 관세는 부과하지 않는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대응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상호 관세로 추가 34%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중국은 34%의 대(對)미국 관세로 맞섰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50%를 더 높이자 중국도 84% 상향으로 맞불을 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 시작 13시간여 만에 대중국 관세는 125%로 올리면서 중국을 뺀 다른 국가에는 국가별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중부는 관세 인상은 물론 미국 기업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단행하는 등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1월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시작한 이후 미국 기업 약 60곳을 제재했던 중국은 전날 대미 관세를 84%로 올리는 동시에 방산업체 등 미국 기업 18곳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
중국은 더 나아가 '맞대응 6대 조치'를 준비 중이라는 사실을 슬쩍 흘렸다.
류훙 전 신화통신 기자가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계정 뉴탄친(牛彈琴)이 지난 8일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관세 대폭 인상과 축산물 수입 중단, 미국 기업 조사 등을 준비 중이라고 전한 것이다.
미중 간 무역전쟁이 양국 간 인적 교류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문화여유부는 전날 자국민들에게 미국 여행 자제령을 내렸다. 또 중국 교육부도 미국 내 일부 유학생의 비자가 예고 없이 취소됐다고 주장하며 미국 유학을 재고하라고 경고성 메시지를 냈다.
장즈웨이 핀포인트자산운용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미국에 관세 인상에도 무역정책에 대한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는 분명한 신호를 보냈다"며 "현재 무역 분쟁에서 빠르고 쉽게 벗어날 방법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