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 등 친윤계 국민의힘 대선 후보들을 중심으로 '배신자론'이 재점화되고 있다. 경선 열차에 탑승한 '탄핵 찬성파' 후보들에 보수 균열의 책임을 묻는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의 정치적 후계자임을 드러내 강성 지지층을 포섭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10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전날 윤 전 대통령이 대선 출마를 결심한 자신에게 충성심을 강조했다는 일화를 전했다. 이 지사는 "대통령이 되면 사람을 쓸 때 가장 중요하게 볼 것은 충성심이라는 것을 명심하라고 당부했다"며 "주변 인사들의 배신에 깊이 상처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헌법재판소 판결도 막판에 뒤집어진 것으로 생각하시고 매우 상심하는 모습이었다"고 했다.
이 지사가 전한 '주변 인사의 배신'은 검사 시절부터 최측근이었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정조준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윤 전 대통령에게 법무부 장관으로 발탁된 후 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됐고, 당 대표 자리에도 올랐으나 결국 탄핵에 찬성한 사실을 꼬집으며 배신자 이미지를 부각시킨 것이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당내 친윤계 일각에선 탄핵 찬성파의 귀책이 있다는 말이 흘러나왔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처럼 분열이 되풀이돼 보수 정당 출신 대통령이 또다시 파면됐다는 일종의 책임론이다. 일부 중진의원들은 탄핵에 찬성표를 던진 김상욱 의원에 대한 조치를 요구했고, 강성 친윤계인 윤상현 의원은 선고 다음날 "저와 국민의힘 의원들의 잘못"이라며 고개를 숙였다.
친윤계와 비윤계 주자들이 대선 후보군에 뒤섞여 있는 만큼 경선이 본격화할수록 '배신자' 공세가 거칠어질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이철우 지사·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나경원 의원 등 친윤계 후보들의 경우 윤 전 대통령의 정치적 후계자라는 점을 드러내 지지층을 공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탄핵 찬성파와 차별화 전략을 펼치면서 '배신하지 않는' 정통 보수 이미지를 내세울 수도 있다.
김 전 장관은 출마 선언 직후 "장관직을 사퇴하면서 윤 전 대통령께 전화를 드렸고 대통령께선 '고생 많았다'고 했다"며 격려를 받은 사실을 공개했고, 나 의원 역시 윤 대통령이 "나라를 위해 역할을 해 달라"는 메시지를 내놨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여권 한 관계자는 "경선 과정에선 윤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적극적으로 드러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당장 친윤 후보들 입장에선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단절보다는 밀착이 정치적 생명을 이어가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며 "당대표 선거와 내년 지방선거를 남겨둔 만큼 윤심을 바탕으로 정치적 입지를 다진다는 목적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