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조기 대선 정국에 휩쓸린 TK 현안 걱정이다

대구경북(TK) 주요 현안들이 조기 대선(大選)의 풍랑(風浪)에 휩쓸렸다. 특히 현안들을 진두지휘했던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모두 대선에 뛰어들면서 신공항 건설, 행정통합 등 백년대계를 위한 사업들이 차질을 빚을 것이란 우려가 많다. 주요 현안들은 정치권의 이해관계, 정부 부처의 정책과 맞물려 있다. 그만큼 시·도지사의 정치력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대표적인 TK 현안은 ▷TK신공항 건설 ▷TK 행정통합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대구 군부대 통합 이전 ▷경주 APEC 정상회의 추경 편성 ▷산불피해지원 특별법 제정 등이다. 신공항의 경우 정부의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 투입 여부도 확정되지 못했다. 공자기금 투입 근거를 담은 TK신공항 특별법 개정안의 국회 심사도 중단 상태다. 취수원 이전 역시 관련 특별법안이 국회에서 잠자고 있다.

이처럼 힘겹게 진행되던 지역 현안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과 조기 대선 정국으로 표류(漂流)하고 있다. 홍 시장의 중도 사퇴에 따른 대구시의 권한대행 체제도 정부·국회와 협의에서 취약점(脆弱點)이 될 수 있다. 특히 행정통합은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정부의 지원과 협조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행정통합을 이끌던 홍 시장·이 도지사의 동시 대선 출마로 내년 7월 대구경북특별시 출범이 힘들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물론 두 단체장 중 누군가 대권을 잡는다면 상황은 반전될 것이다.

TK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대선 정국은 물론 새 정부에서도 지역 현안들이 뒷전으로 밀려날 수 있다. 그러나 위기는 도약(跳躍)의 기회이기도 하다. 대선 정국을 적극 활용하는 게 중요하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선 정국이라 해서 현안 추진에 손 놓으면 안 된다. 사업의 우선순위를 정한 뒤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아울러 지역 현안을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공약에 반영시켜야 한다. 가덕도신공항처럼 TK신공항의 '국가 재정 사업화' 같은 담대(膽大)한 공약도 필요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